49개 만기 금고 중 5개 광역단체 예산만 '35조'울산·대구·구미 입찰 마감…국민은행 모두 참여3파전 구도 형성…경남·대구은행 "반드시 수성"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올해 계약이 만료되는 전국 49개 지방자치단체 금고 운영권을 향한 은행들의 관심이 뜨겁다.

    5개 광역시가 금고지정을 앞뒀고, 지방은행이 선점 중인 '대여' 금고에 국민은행이 출사하면서 최대 5파전으로 치닫는 모습이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에 근간을 둔 지방은행들이 텃밭을 뺏기지 않기 위해 수성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울산광역시에 이어 대구광역시와 구미시는 최근 금고지정 관련 제안서 접수를 마감했다.

    대구시 입찰에는 기존 1·2금고인 대구은행과 농협은행 구도에 국민은행이 도전장을 내밀었다.

    대구시의 일반회계 예산은 올해 기준 8조3000억원으로, 특별회계까지 합하면 9조원에 달한다. 매년 예산 증가분을 고려하면 내년부터 관리하게 될 돈은 총 10조원이 넘는다.

    앞서 울산광역시 입찰에는 기존 1·2금고인 경남은행과 농협은행은 물론 국민은행이 복수금고로 출사표를 던졌다. 대구와 울산 모두 국민은행의 도전으로 3파전을 치르게 된 셈이다.

    울산시 일반예산은 3조6000억원으로 특별회계까지 합치면 총 4조원 수준이다. 특히 내년부터 금고 약정기간을 3년에서 4년으로 늘리고, 한 은행이 1·2금고 모두 지원할 수 있도록 규칙을 개정했다.

    1997년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한 이후 경남은행과 농협은행이 금고지기를 담당해왔으나, 만약 국민은행에 자리를 뺏긴다면 22년간 이어진 두 은행의 과점 구조가 깨지게 된다.

    기초단체 중에는 경북 구미시와 전북 전주시 금고가 각축전이 예상된다. 구미는 대구은행이, 전주는 전북은행이 1금고를 관리하고 있다.

    구미시 입찰에는 5개 금융기관이 몰렸다. 기존 1·2금고인 대구은행과 농협은행을 비롯해 국민은행과 KEB하나은행이 첫 도전에 나섰다. 3년 전 입찰에 참여했던 새마을금고도 참여했다.

    이번 금고 쟁탈전에서 눈에 띄는 건 국민은행의 행보다. 다른 은행보다 금고 사수에 소극적이던 국민은행이 곳곳에 도전장을 내밀면서 상대적으로 덩치가 작은 지방은행들이 긴장하고 있다. 

    국민은행의 공격적인 행보로 지방은행과 농협은행의 양강구도가 형성된 지방금고 입찰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최근 전남 광양시는 1금고에 농협은행을 재선정했으나 2금고에 기존 광주은행이 아닌 국민은행을 선정했다.

    지자체 금고는 보통 조 단위 규모로 세입·세출을 관리해 운용수익 효과를 볼 수 있고, 지자체에서 진행하는 각종 사업에 우선 참여 기회가 주어진다.

    아울러 산하기관 대상 부가영업이나 우량 고객인 공무원들을 유치하면서 대출 영업 등에서 실적을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대율(예수금 대비 대출금 비중) 관리 비용도 절감된다. 대규모 예금을 유치함으로써 내년부터 강화되는 예대율 규제에 대응할 수도 있다.

    올해 금고지정이 예정된 지자체는 대구, 울산, 경상북도, 경상남도, 충청남도 등 5개 광역단체와 44개 기초단체가 있다. 

    5개 광역단체의 일반회계 예산 규모는 올해 기준 총 34조9000억원에 달한다. 이중 경북이 8조6000억원으로 가장 규모가 크다. 다음으로 대구은행, 경남 순이다. 특별회계까지 합치면 규모는 더 불어난다.

    경북은 지난 9일 금고지정 공고를 냈다. 오는 18일에는 관련 사전설명회를 열고 30일부터 내달 1일까지 제안서 접수를 받는다. 현재 1·2금고 각각 농협은행과 대구은행이 맡고 있다.

    경남도 20일부터 금고지정 제안서 접수를 시작한다. 현재 1·2금고는 각각 농협은행, 경남은행이 관리하고 있다. 올해 경남 일반예산은 8조2000억원이다.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방자치단체와 해당 지역에 기반을 둔 지방은행은 밀접하게 연결돼 있어 1금고 수성에 변수가 생길 가능성이 크진 않다"며 "다만, 경북과 경남은 2금고가 지방은행이라는 점에서 시중은행이 참여할 경우 금고 유지가 위태로울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