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광역 4개·기초 44개 지자체 금고 만료농협-지방은행 양강구도 속 시중은행 도전장지방은행 "지역기반 향토은행이 맡아야"주장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올해 계약이 만료되는 지방자치단체 49개 금고를 차지하기 위한 은행들의 물밑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지자체 '금고지기' 왕좌인 농협은행과 각 지역에 기반을 둔 지방은행의 양강구도 속 시중은행의 관심이 더해져 1금고 못지않게 2금고도 혈전이 예고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말 만기 금고 광역단체 4개를 제외한 기초단체 44개 금고 중 지방은행이 관리하는 1·2금고는 총 18개다. 

    1금고는 ▲부산 동래구(부산은행) ▲광주 동구·서구·북구(광주은행) ▲전북 전주시(전북은행) ▲경북 구미시(대구은행) 등이 있다.

    2금고는 ▲전북 김제시·완주군·무주군(전북은행) ▲전남 광양시·고흥군(광주은행) ▲경북 영주시·칠곡군(대구은행) ▲경남 사천시·김해시·거제시·창녕군·고성군(경남은행) 등이 있다.

    나머지 기초단체 1금고의 90% 이상은 전국 단위의 금고 운용에서 막강한 힘을 지닌 농협은행이 선점하고 있다. 

    그간 지자체 금고 경쟁에는 시중은행이 수도권을, 농협은행이나 지방은행이 지방을 맡아왔으나 시중은행이 거액의 출연금을 무기로 영역 싸움에 뛰어들면서 이러한 흐름에 균열이 생겼다.

    특히 지난해부터 지방 금고 운영권을 시중은행이 차지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금고 유치 경쟁이 더 치열해졌다. 최근 전남 광양시는 2금고에 기존 광주은행이 아닌 국민은행을 선정했다.

    지난해에는 광주 남구가 23년 만에 광주은행에서 국민은행으로 금고지기를 바꿨고, 광주 광산구도 1금고 운영기관을 농협은행에서 국민은행으로 변경했다. 

    국민은행은 광산구에 지역사회기부금과 협력사업비 등 60억원이 넘는 출연금을 약속하며 이보다 적은 돈을 제시한 농협은행을 이긴 것으로 알려졌다. 농협은행은 광산구가 광주시로 편입돼 자치구로 승격된 1988년 이후 30년간 금고를 맡아왔기에 놀라운 결과였다.

    그러나 금고 지정 당시 심의위원 명단이 사전에 유출됐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법정 소송까지 이어졌고, 법원은 광산구의 1금고 지정 행위에 무효 판결을 내렸다.

    광산구는 4개월 만에 1금고 재선정 절차에 들어갔다. 지난달 금고 선정 관련 조례를 일부 개정하고, 이달 금고지정 계획을 공고했다. 최근 열린 설명회에는 농협은행, 국민은행, 광주은행 등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지자체의 금고 유치 과당경쟁이 심화되자 행정안전부는 협력사업계획 배점을 줄이고, 예금금리 배점을 늘리는 등 금고지정 기준 제도를 개선했다.

    지방은행들은 기존 지역 금고를 뺏기지 않기 위해 변경된 제도의 유불리를 따지며 유치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들은 지역사회 기여도가 높은 향토은행이 지자체 금고를 맡아야 한다며 목소리를 내고 있다. 

    특히 광주은행의 경우 앞의 사례처럼 연이어 고배를 마시면서 금고 사수에 비상이 걸린 만큼 지역 출신인 송종욱 은행장을 필두로 기존 금고 수성에 팔을 걷어 붙였다. 

    광주은행은 50년간 지역에 뿌리내린 광주·전남 대표은행으로서 지역 내 가장 많은 영업점을 보유한 점, 광주 완성차 위탁생산공장 합작법인에 3대 주주로서 260억원을 출연하고 목포 해상케이블카 신설사업에 100억원을 지원하는 등 지자체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매년 당기순이익의 10%를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최근 5년간 446억원의 지방세를 광주·전남에 납부한 점,  2019광주FINA세계수영선수권대회 공식후원은행으로서 홍보활동에 앞장선 점도 내세우고 있다. 

    광주은행은 이번 금고 유치 경쟁에서 설욕을 만회하는 것은 물론 전남 목포시 금고 경쟁에 도전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목포시 1금고는 1961년부터 기업은행이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