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개 펀드 환매 중단, 투자금만 1조5000억원 규모돈 묶인 투자자들, 라임운용‧판매사까지 법적대응 검토중 당국도 판매사와 관계 예의주시…‘불완전판매’ 가능성 관건
-
라임자산운용의 대규모 환매 연기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당초 알려진 것보다 피해 범위가 더 넓어지면서 투자자들이 소송을 준비하고 있는데다 판매사에도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지적까지 나온다.14일 업계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의 환매 중단 규모는 최대 1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로 인해 개인투자자 약 3600여명이 투자한 자금이 묶이게 됐다.금융감독원에 따르면 라임자산운용이 운용하는 ‘플루토 FI D-1호(사모채권)’, ‘테티스 2호(메자닌)’을 모(母)펀드로 하는 사모채권펀드, 메자닌펀드, 해외무역금융펀드 등 총 157개의 펀드 환매가 미뤄지면서 총 1조5587억원의 투자금이 묶인 상황이다.이들 펀드에 투자한 일부 개인투자자들은 법적 대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포털사이트에는 한 금융 전문 법무법인이 운영하는 ‘라임자산운용 환매중단 피해자 모임’ 커뮤니티가 개설, 현재 400명이 넘는 회원이 가입돼 있다.해당 모임의 운영진은 지난달부터 회원들을 대상으로 피해자 진술서를 모으는 등 라임운용 측에 대한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다.이 과정에서 라임운용 사태의 책임이 은행, 증권사 등 판매사에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해당 커뮤니티 측은 진술서를 모집하면서 “펀드 신청 당시 담당 은행 PB들이 펀드신청을 유도한 말이나 상품권유의 방법, 위험성 설명 여부를 포함해 진술서를 작성해 달라”고 당부하고 있다.만약 피해자들이 펀드 가입 과정에서 판매사로부터 상품의 특성이나 위험성에 대해 제대로 설명을 받지 못한 정황이 포착된다면, 판매사들 역시 그 책임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된다.지난 3분기 말 기준 라임자산운용의 펀드를 가장 많이 판매한 금융사는 대신증권이었으며, 이어 키움증권, 우리은행 등이 뒤를 이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금융투자, KB증권 등에서도 판매가 이뤄졌다.이들 금융사는 현재 라임운용의 상품 판매를 중단한 상태지만 일부 금융사의 경우 상품 기획 단계서부터 라임 측과의 교류가 있었다는 의혹이 불거져 나오면서 곤혹스러운 상황이다.피해자 모임을 운영하고 있는 법무법인 광희 측은 “현재 피해자들로부터 진술을 받고 있으며 향후 법적 대응 일정 등은 검토 중에 있다”며 “라임운용뿐 아니라 판매사에 대한 소송 제기도 함께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소송전 뿐이 아니다. 특히 금융감독원이 이번 사태에 대해 ‘예의주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당국의 조사 대상이 판매사로까지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한편, 금감원은 지난달부터 라임자산운용과 TRS(총수익스와프) 계약을 맺은 KB증권과 신한금융투자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