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전수조사 실효성 의문, 선별진료소 역할 강화가 선결과제지역사회 전파 ‘29번·30번 환자’ 이후로 방역정책 완전히 새롭게 설정돼야 질본 감시망 벗어난 지방에서 추가 환자 진단 시 확산 폭 커질 듯
  • ▲ 홍윤철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 ⓒ박근빈 기자
    ▲ 홍윤철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 ⓒ박근빈 기자
    “보건당국 차원에서 메르스를 겪은 이후 감염병 관리체계를 철저하게 형성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래서 코로나19(우한 폐렴) 초기 대응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한다. 그러나 지금부터가 문제다. 아직 우리는 감염병 확산기에 어떻게 대응할지 정리되지 않은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17일 본지와 만난 홍윤철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장(WHO 정책자문관, 서울대 예방의학과 교수)은 우한 폐렴 지역사회 감염으로 추정되는 29번 환자(82세 한국인 남성)과 그의 아내인 30번 환자(68세 한국인)가 발생한 것에 대해 우려감을 드러냈다.

    홍 단장은 “질병관리본부 감시망 외 환자가 발생한 것은 전혀 다른 국면에 접어든 것임을 시사한다. 예고된 부분이었지만 믿고 싶지 않았던 그런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제는 증상 중심으로 철저한 의심환자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29번 환자 발생 전에는 타깃을 정하고 그 영역 안에서 관리를 하면 됐지만 지금은 타깃을 정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 보건당국은 국가 전체적으로 발생하는 데미지를 줄이는 방향으로 전략을 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직 미흡한 감염병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선별진료소 확충 및 의심환자 관리 범위를 넓히는 것이 선결과제라는 진단이다. 

    홍 단장은 “질본 본부장, 복지부 장관, 총리 등 아직 정리되지 총 책임자의 역할과 권한이 불분명하다. 어떻게든 정리를 해야 한다. 결국 이 부분이 해결이 안되니까. 광주 21세기병원과 같은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다. 수도권은 관리가 가능한데 지방은 그렇지 않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병원의 네트워크를 풀로 가동하고 민간병원 협조를 통해 선별진료소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 동선을 확인해 검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폐렴 증상이 나타난 전체 환자에게 적절한 검사와 관리가 이뤄져야 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 폐렴 전수조사는 ‘시기상조’

    29번 환자 발생 이후 정부가 지역사회 감염을 막고자 추진하고 있는 ‘폐렴 전수조사’와 관련된 의견은 부정적이었다. 국내 의료전달체계 상 부작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홍 단장은 “실제로 폐렴 전수조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방법론이 구체화되지 않았다. 폐렴 증상을 가진 환자를 모두 의심환자로 두고 관리한다는 뜻인데 이럴 경우, 민간병원에서 폐렴환자를 받지 않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증상 중심으로 가야하는 방향성은 맞지만 전수조사는 실효성이 없다. 폐렴 환자는 돌고 돌아 선별진료소를 갖춘 공공병원으로 이동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고 폐렴 환자에 대한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즉, 동네의원이나 지역 종합병원에서 폐렴환자 발생 시 감염병 전달체계 상 상위기관에 쏠리는 현상이 나타날 것이고 이에 따라 문을 닫는 병원도 발생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특히 세부적인 계획 없이 전수조사를 실시하면 이른바 ‘폐렴 난민’이 생겨난다는 우려다. 

    홍 단장은 “지금 당장 공공병원이 수용할 수 있는 환자, 격리병상 수를 고려한 종합적인 대응책과 플랜B를 설정해야 한다. 질본 감시망이 잘 통하지 않는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우한 폐렴이 더 쉽게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