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경제장관회의 주재 "금융외환 변동성 확대… 전방위 대응"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광은 6일 "코로나19로 인해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제한이 늘어 인적교류뿐 아니라 교역 및 투자 등의 경제활동에 제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이 같이 말하고 "국내적으로도 소비심리와 기업활동이 크게 위축되면서 내수, 생산, 수출 등 실물경제 전반의 어려움이 누적되고 가시화되는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기준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입국금지 조치를 단행한 국가는 43개국, 강화 및 격리조치에 나선 국가는 57개국에 달한다.

    홍 부총리는 "코로나19의 세계적 확산으로 불확실성과 어려움이 가중되고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추세"라며 "금융·외환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과도할 경우 준비된 비상계획에 따라 선제적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당장 수출지표, 수주지표, 투자지표로 나타나는 만큼 올해 수출 플러스 전환과 해외인프라 확충, 투자협력 확대를 전례없이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어 "당초 3월에 예정됐던 한러 부총리 회담, 한중 경제장관회의 등의 일시적 연기 등이 불가피했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정상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국제사회에서 논의 중인 디지털세(구글세) 도입과 미국 상무부의 환율 상계관세에 대한 대응 등에 대해서도 "전방위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