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직영 및 가맹 택시 우선 배정 논란"사실아냐… AI 기반 배차시스템 배정" 설명 진땀투명성 요구 여론 확산… AI 알고리즘 공개 요청에 '난감'
  • ▲ ⓒ카카오모빌리티
    ▲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가 '카카오T 블루' 등으로 택시 사업을 확장하고 있지만, '차별호출 배분 논란'이 일며 골머리를 앓고 있다.

    카카오는 AI 기반 배차 시스템에 의해 콜이 배정된다는 입장인데,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을 경우 관련 AI 알고리즘을 공개할 수도 없는 노릇이여서 고심이 깊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장거리 콜, 직영·가맹 택시 '카카오T 블루' 기사들에 먼저 배정?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운송가맹사업 자회사인 KM솔루션은 최근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의정부시로 가맹택시 서비스 '카카오T 블루' 시범서비스를 시작했다.

    카카오T 블루는 택시 호출 시 목적지가 표시되지 않는 자동배차 택시 서비스다. 때문에 기사들의 승차거부가 없고 서비스질이 높아 일반택시 보다 최대 3000원 가량의 호출비를 더 받는다. 

    카카오T 블루는 서비스 확대를 위해 각 지역 택시운송가맹사업자와 손을 잡았다.

    택시운송가맹사업자인 DH모빌리티(울산광역시), GJT모빌리티(광주광역시), SNT솔루션(경기도 의정부시)은 KM솔루션의 지역본부로서 해당 지역의 서비스 운영을 담당한다. KM솔루션은 가맹택시 운영 노하우는 물론 카카오T 플랫폼에서의 효율적 운행을 위한 모빌리티 기술을 지원한다.

    카카오T 블루는 현재 서울특별시, 대구광역시, 경기도 성남시, 대전광역시 등 4개 도시에서 4200여대 규모로 정식서비스가 진행 중이다. 경기도 남양주시, 구리시, 하남시 등 3개 도시에서는 260여대가 시범서비스되고 있다. 카카오T 블루는 이번 3개(총 750여대) 지역에서 추가 시범서비스를 진행, 총 5200여대를 운행하게 됐다. 연내 전국 1만대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잡음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승객-기사'간 단순 중개 서비스인 '카카오T'와 직영·가맹택시 운영 서비스인 '카카오T 블루'를 동시에 운영하면서 흘러나왔다.

    '카카오T'를 단순 이용하는 기사들이 '카카오T 블루' 소속 기사들보다 콜이 불공정하게 배분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예컨대, 장거리 호출의 경우 카카오 직영·가맹 택시인 '카카오T 블루' 기사들에게 먼저 배정이 된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한국콜택시산업협회가 카카오모빌리티에 '카카오T 택시콜이 카카오T 블루로 편중된다는 의혹에 대한 해명 요청 공문'을 송부하기도 했다.

    ◆"사실아냐…AI 알고리즘 공개할 수도 없고"

    이에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해당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회사 측은 "카카오T는 AI 기반의 배차 시스템에 의해 콜이 배정되기에, 특정 서비스나 차량에 콜 배정 우선 순위를 두거나 인위적으로 콜을 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난해 한국콜택시산업협회 공문과 관련, 협회가 제시한 증거는 없다는 설명이다.

    관계자는 "장거리콜이 가맹으로 편중된다는 '체감'에 의해, 이런 의견들이 있으니 해명을 해달라는 요청이었고, 콜택시협회가 당시 어떠한 근거(증거)를 제시한 건 아니였다"며 "이에 대해 공정한 배차 로직으로 배분하고, 차별하고 있지 않다고 설명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시 데이터 관련해선 공문에 포함하지는 않았으나, 실제 가맹의 5km 미만 단거리 운행완료율 비율이 서울의 경우 일반중형택시 대비 9%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카카오 측은 관련 논란이 사그러들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모습이다.

    사실상 논란이 지속된다면 투명성을 요구하는 여론이 커질텐데, 그렇다고해서 회사 기밀 사인인 AI 알고리즘 등을 외부에 공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택시 업계는 여전히 카카오 측에 투명성 있는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 관계자는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콜이 적어 여러모로 기사들의 신경이 예민해지고, 경쟁 택시들과 비교해 불만이 커지고 있는 시국이나, 카카오가 공식적으로 현장에 나가 확인 점검을 하면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현장 점검을 통해 사내 시스템의 정상여부를 확인하면 될 것이다. 어려움 문제는 아닐 것이다. 투명성 있는 행동을 지속 취하면 이런 논란도 수그러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