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경기부양책 불구 물가 영향은 '글쎄'수요·공급 동시 위축…물가 상승·하락 상존수요회복 지연, 통화정책 한계가 물가 발목
  • ▲ ⓒ국제금융센터
    ▲ ⓒ국제금융센터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충격과 재확산 우려에 따른 경기 부진으로 물가가 단기간에 급등할 가능성이 낮다는 진단이 나왔다. 

    특히 경기부양을 위한 주요국의 전례없는 대규모 자금 동원에도 불구하고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는 분석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미국, 중국, 유로존 등 주요 10개국이 마련한 경기부양책 규모는 15조 달러에 이른다. 이는 2019년 전 세계 GDP(87조 달러)의 17% 수준이다.

    과거 사례를 보면 1929년 대공황 시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수요충격이 우세해 물가가 하락하거나 상승세가 크게 둔화했다.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외환위기, 2000년대 후반 리먼사태 때에도 당국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있었으나 물가상승을 동반하지 않았다. 

    전염병 관련해서는 스페인 독감 당시 전 세계 물가가 상승했으며, 여타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에볼라, 지카 등은 물가 영향이 미미했다. 

    코로나 전염병의 경우 물가 상승 및 하락 요인이 상존한다. 

    수요충격을 유발한 글로벌 금융위기와 달리 수요와 공급 양측을 동시에 위축시키고 있어서다. 

    물가하락 요인으로는 수요회복세 부진, 민간부문 저축성향 확대, 제품 가격 경쟁 지속,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한계 등이 있다. 

    특히 2차 감염 확산과 추가적인 경제 충격 가능성으로 가계와 기업이 심리적 불안감 하에 관망 태도를 유지하면서 소비와 투자의 회복이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실업률의 큰 폭 상승으로 잉여 노동력이 향상해 이를 흡수하는 데 시간이 걸리면서 조기 수요회복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앙은행들이 코로나19에 대응할 정책여력을 소진하면서 물가상승을 위한 추가적 완화정책이 어려운 상태인 점도 발목이다. 

    반대로 물가상승 요인으로는 글로벌 생산체제 재정비로 세계적 가치사슬의 글로벌화 후퇴, 감염 우려의 빠른 해소로 공급보다 수요 회복이 빠르게 진행되는 점이 있다.

    생산 및 판매업자의 코로나19 손해를 만회하기 위한 제품 및 서비스 가격 인상, 정부부채 감축 유인, 중앙은행의 통화긴축 전환 지연 등도 원인이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의 재확산 우려로 경기침체가 장기화할 경우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예측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제활동이 침체하고 있음에도 지속해서 물가가 상승하는 상태가 유지되는 저성장·고물가 상태를 의미한다. 

    주요 IB는 올해 세계경제가 -3.3% 성장을 보이는 가운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6%에서 2.1%로 크게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단, 소비자물가는 2021년 2.5%, 2022년 2.9%로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주요 IB들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회복세를 전망하고, 기대인플레이션율도 미국을 중심으로 완만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는 점은 미약하게 물가상승 여지를 시사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