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이후 은행업의 위기는 더욱 빨라질 것이란 진단이 나왔다.
실물경제 침체와 이에 따른 금리인하도 원인이지만 비대면 거래 확산으로 인한 ‘빅테크’ 출연도 은행 산업구조를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단 것이다.
23일 한국금융연구원은 ‘코로나 위기 이후 금융산업의 디지털 대전환’ 세미나를 열고 국내 은행업의 중장기 성장 경로를 예상치를 내놨다.
주제발표를 맡은 서정호 연구위원은 “앞으로 디지털 기술의 발전 등 미래 요인들은 은행의 상품, 서비스, 유통방식, 조직 및 인력 구조, 내부 업무프로세스 등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은행시장에 새로운 경쟁자 또는 경쟁 비즈니스 모델이 대거 출현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특히 저성장, 저금리, 저출산이라는 소위 ‘신3저’의 경제·사회구조적 현상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며 이로 인해 은행은 그동안 누려 온 우월적 지위는 축소되거나 성장성과 수익성도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부정적 전망은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서 시작됐다.
그동안 은행은 자체 상품을 스스로 판매하는 구조를 갖고 시장 지위를 확보했다. 그러나 디지털 기술 및 플랫폼 발전 등으로 인해 은행 상품 및 서비스의 제조, 판매 분리가 가속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미 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등 핀테크 업체는 단순화된 금융서비스를 발판으로 은행과 경합할 정도의 시장 점유율을 넓혀가고 있다.
서정호 연구위원은 “은행들 플랫폼 경쟁력을 상실한다면 은행의 고객 접점이 빅테크로 대거 이동하면서 은행이 플랫폼 기업에 사실상 종속되는 상황에 봉착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사실상 핀테크가 금융상품 유통을 담당하고 은행은 금융상품 제조자로서 역할 나뉠 수 있다는 예견이다.
서 연구위원은 “향후 국내 은행시장은 대형은행 중심의 글로벌 종합금융서비스 제공자, 규모가 커진 지방은행 중심의 중형 은행들, 지역이나 특정 사업모델에 집중하는 중소형 은행 등으로 촘촘하게 분포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빅테크는 고객기반을 토대로 은행과 채널 주도권 경쟁을 벌이면서 은행과 유사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또 유사한 금융서비스 출시보다 특화된 종합자산관리서비스로 고객을 확보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출현이 더 많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객들에겐 오프라인과 동일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영업을 강화해 비용 효율성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금융과 관련해선 부동산 담보 및 보증 위주의 대출 영업에서 혁신기술을 활용한 신용 위주의 시장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서정호 연구위원은 밝혔다.
매켄지 보고서에 따르면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중소기업 대출 규모는 2025년까지 평균 9% 이상 성장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반면 빅테크에 대한 불안 요소도 존재한다는 반론도 제기됐다.
토론자로 나선 국민은행 한동환 부행장은 “은행 산업은 기본적으로 신뢰에서 시작한다. 핀테크 업체가 보다 편리한 서비스로 초기 고객의 눈길을 사로잡을 수 있지만, 시중은행이 축적한 신뢰는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 부행장은 영국의 혁신 핀테크 기업인 레볼루트의 예를 들며 “최근 글로벌 업계에선 핀테크 기업이 성장은 했지만 성숙하진 못했다는 비판도 있다. 이 때문에 레볼루트도 고객과 신뢰를 쌓는 기존 은행업 특성으로 돌아가려는 움직임도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최근 사모펀드 사태로 인해 은행과 고객 간 신뢰가 무너진 점에 대해선 “결국 금융상품을 팔기 위해선 절차적 완전판매도 중요하지만, 고객에게 얼마나 필요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했는지, 투자 손실은 보지 않았는지 등 정서적 완전판매도 중요한 경쟁력으로 꼽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