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순자산 기준 하위계층 충격 더 커가계소득 감소, 소비·지출 축소 어려워유동성위험가구, 단기 소득지원 큰 도움
  • ▲ 코로나19 위기로 취약계층의 소득하락 충격이 더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KDI연구소
    ▲ 코로나19 위기로 취약계층의 소득하락 충격이 더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KDI연구소
    코로나19 위기로 취약계층의 소득하락 충격이 더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7일 KDI정책포럼의 '가계부문 유동성 위험 점검과 정책적 시사점'에 따르면 소득하락의 폭이 크고 소득하락 충격에 노출된 가구가 많을수록 유동성 위험 가구 규모가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로 가계 현금흐름이 악화, 재무건전성이 훼손되면서 부실위험 가구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보고서는 경기침체에 따른 가계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소비, 부채상환액 등 지출을 축소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즉, 수입 감소에 따른 가계 순수입 축소가 가계 재무건전성을 훼손해 부실 위험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소득감소에 따른 현금흐름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이 충분하지 못한 가구는 심각한 재무적 위험에 직면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재무적 곤경이 심각할 경우, 소비감소 뿐만 아니라 채무불이행의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현금흐름 충격으로부터 재무적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금화가 쉬운 최소한의 유동성 자산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통계청 '가계 금융, 복지조사'를 기본데이터로 유동성 위험 가구 규모를 추정했다. 

    유동성 위험가구가 코로나19로 인해 얼마나 증가할 지 살펴본 것인데 유동성 위험 가구 비율은 전체 가구 소득이 10% 하락할 때 0.6%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 하락때는 1.6%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가구 대비 유동성 위험 가구 비율은 소득하락폭 외에 충격에 노출된 가구 규모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또 소득하락에 따른 유동성 위험 가구 비율 증가는 소득 및 순자산이 적은 가구일수록 높았다. 소득 20% 하락 때 유동성 위험 가구 비율은 소득 하위 20%가구에서는 4%P 증가했으나 소득상위 20% 가구에는 0.3%P 증가하는데 그쳤다. 

    보고서는 "소득하락 충격으로 유동성 위험 가구가 소득 하위 분위에 집중됨에 따라 적은 금액의 소득지원만으로도 유동성 위험 완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