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자 편견 없애고 사회 복귀 가능한 분위기 형성 ‘선결과제’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대한의사협회가 현 방역체계의 가장 큰 적을 ‘코로나19 불감증’으로 규정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을 강조했다. 또 감염자들이 완치 후 편견없이 사회에 복귀하는 분위기가 형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27일 의협은 이 같은 내용의 대국민 권고문을 발표했다. 

    의협은 “1년 내내 지속된 방역 속에 우리는 지쳤다. 문제는 그동안 자제했던 만남과 모임, 사회적 교류에 대한 갈증이 연말이라는 시기와 맞물려 안전불감증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지난 3월 전국적인 감염 확산 우려가 컸던 시기에 우리는 적극적인 사회적 거리두기로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했다. 코로나19가 어떤 병인지 알지 못해 신중했던 그 시기로 돌아가 철저한 위생, 마스크 착용,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켜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물론 학생들의 학업, 생계를 위한 최소한의 활동은 철저한 방역 속에서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과정에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감을 느끼고 서로를 지켜주는 개인방역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젊고 건강한 시민들이 노약자와 만성질환자를 보호하고 배려해야 하며, 가장 좋은 방법이 바로 ‘철저한 사회적 거리두기’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감염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도 없애야 한다고 당부했다.

    의협은 “감염 확산을 줄이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겠지만, 코로나19에 감염이 됐다고 해서 책임을 지거나 죄인이 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감염된 사람은 오히려 무고한 피해자일 수 있으며, 어떤 사회적 압력이나 편견 없이 충분히 치료받고 사회로 복귀하도록 배려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의협은 “코로나 감염으로 오랫동안 준비한 시험 응시 자격을 잃은 임용고시 수험생들의 사례에 대해서도 매우 유감스럽다. 갑작스러운 감염의 불운으로 국민 개인이 겪게 될 예측 가능한 피해에 대해 정부와 사회는 반드시 대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