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12세 이하 소아부터 적용되는 자가치료 지침 마련… 최종 논의 중의료계, 생활치료센터 늘리면서 ‘코로나 전용병원’ 설치 등 제안 미국·영국 등 자가치료 선택했지만 성과는 ‘글쎄’… 국내 거주형태 상 ‘취약’
-
방역당국이 3차 대유행 여파로 확진자가 연일 급증하자 코로나19 자가치료 도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 우선 소아부터 적용하고 단계적으로 젊은 층 경증환자나 무증상자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현시점 자가치료가 올바른 결정일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아직 명확한 치료법이 제시되지 않은 신종 감염병의 특성상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인데, 자칫 환자의 증세가 악화되는 상황으로 변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 지속적으로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해야 해 시스템, 인력 등 행정적 부담도 커질 수밖에 없다.의료계는 자가치료가 시행되기 전 우선 ‘코로나 전용병원(코호트병원)’을 지정해 대응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지금은 확진자의 수를 줄이는 것보다 이미 감염된 환자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통해 사망률을 줄이는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방역당국은 최근 정례브리핑을 통해 ‘자가치료 계획’을 공개하고 있다.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자가치료를 시행한다면 12세 이하 어린이 등 필요성이 제기된 이들부터 적용하고 이후 확대에 대해서는 의견을 모으겠다”고 말했다.소아 확진자는 거의 경증이기 때문에 생활치료센터나 전담병원보다는 집에서 격리하는 게 좋겠다는 제안이 계속 있었기 때문이다. 젊은 성인도 중증화할 위험이 없어 자기치료 대상으로 염두에 두고 있다.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 역시 “관련된 지침을 실무적으로 마련했다. 전문가·지자체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라 마무리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다만 “유행 확대로 인한 시설 부족 때문에 시행하는 것이 아니다. 의학적으로 볼 때 특정 대상의 경우 자가치료로 관리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이미 미국이나 영국은 자가치료를 도입했다. 집에서 자가격리를 하면서 의사와 연락을 유지하고 호흡곤란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한다. 집 안의 다른 사람이나 애완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하며 가능하면 별도의 욕실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하지만 자가치료를 선택한 국가들이 신규확진자나 치명률을 줄이는 등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아파트나 빌라에 거주하는 형태가 많은 국내에서 적용시 ‘국민적 이해’가 수반될지도 의문이다.◆ 의협, 생활치료센터 확충·코로나 전용병원 지정 ‘급선무’대한의사협회는 자가치료를 선택하기 전 생활치료센터를 확충하고 ‘코로나 전용병원(코호트병원)’을 늘려 3차 유행에 대비하는 구조가 형성돼야 한다고 지적했다.2일 김대하 의협 대변인은 “자가치료라는 선택지는 확산세를 도저히 감당할 수 없을 때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직은 시기상조다. 코로나19 치료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우선”이라고 지적했다.경증, 무증상 환자도 의료진이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 유지돼야 한다는 것이다. 자가치료 시에는 생활치료센터처럼 의료진이 환자를 모니터링하면서 후송할 수 있는 체계가 형성되기 어렵다는 진단이다.그는 “코로나 1차 유행 당시 생활치료센터 구축을 강력하게 요청한 바 있다. 자가치료가 아닌 생활치료센터를 확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코로나 전담병원을 지정해 실질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고 제안했다.코로나19 환자만 전담해 치료할 수 있는 코로나 전용병원(코호트병원)을 지정하고 이 병원에 인력과 자원을 정부가 지원해 중증 환자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현명하다는 판단이다.김 대변인은 “지금은 확진자의 수를 줄이는 것보다 이미 감염된 환자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통해 사망률을 줄이는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기다. 전담기관이 지정돼 해당 의료기관과 의료진이 중증 환자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어 “전담기관 외 의료기관은 일반 환자의 비(非)코로나19 진료에 주력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줘야 코로나19로 인한 부수적 피해를 억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