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치료 중 근육량 변화와 치료결과 연관성 분석
-
근육량의 감소가 위암 치료에 있어 좋지 않은 예후 인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항암치료 시 근손실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미다.중앙대학교병원 암센터 황인규, 박송이 혈액종양내과 교수와 최진화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는 진행성 위암 환자가 항암치료을 받으면서 변화하는 골격근육량과 치료 결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를 7일 공개했다.연구팀은 위암의 완화 및 통증 조절을 위해 시행하는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평균연령 65세의 진행성 위암 환자 111명을 대상으로 CT 촬영검사 후 골격근지수(SMI), 체질량지수(BMI), 체중 변화에 따른 항암화학치료 반응과 생존율을 비교했다.그 결과, 111명의 위암 환자 중 46.8%가 근감소증이 진단됐다. 항암화학요법 전후 골격근지수(SMI)는 11.3% 감소, 체질량지수(BMI)는 3.2% 감소, 체중은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근감소증과 골격근지수는 위암 환자의 생존에 있어 유의미한 예후 인자로 나타났다.111명의 진행성 위암 환자를 약 5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98명의 환자(88.3%)가 사망했다.이 중 골격근지수가 감소한 환자군(Decreased SMI group, 39명, 35.1%)의 평균 생존율은 골격근지수가 유지된 환자군(Stable SMI group, 72명, 64.9%)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골격근지수가 감소한 환자 군의 평균 생존율은 8.9개월인 반면에 골격근지수(SMI)가 유지된 환자군의 평균 생존율은 14.8개월로 확인됐다.이로써 중앙대병원 암센터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근감소증과 골격근지수 감소는 진행성 위암 환자의 생존율에 있어 나쁜 예후 인자인 것을 입증했다.황인규 교수는 “진행성 위암 환자의 항암치료 중 근감소증은 생존에 있어 좋지 않은 요인이기 때문에 환자의 근육량 손실에 대한 지속적인 보존적 치료가 필요하다. 항암치료 중 운동 및 고단백 식단요법과 같은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박송이 교수는 “향후 암 환자의 효율적 근감소증 개선을 위한 운동요법 가이드라인 프로토콜을 만들어 항암치료 예정인 암 환자에 적용할 예정이다. 생존율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한편, 중앙대병원 암센터 연구팀의 이번 연구 논문은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