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대유행 번지며 ‘요양병원 집단감염→사망’… 당분간 지속될 듯천은미 교수 “중증환자 되기 전, 치료 가능한 체계 형성이 중요” 코호트 격리 조치, 오히려 대기시간 늘어나 고위험군에 ‘악영향’
-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사망자도 늘어나고 있다. 9일째 사망자는 두자릿수를 기록하고 있고 당분간 이러한 추세는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다.문제는 고위험군인 고령자들이 요양병원, 요양시설에서 입원 대기 중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백신 및 치료제를 당장 쓰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확진 후 초기 대응’이 사망자 수를 줄이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러나 방역대책은 다른 곳을 향하고 있다.23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사망자는 17명이다. 전날과 전전날은 코로나19 창궐 이후 역대 최다 수치인 24명을 각각 기록했다. 소폭 감소했지만 유의미한 지표는 아니다. 오히려 치명률은 1.4%에서 1.41%로 올랐다. 언제든 20명대로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3차 대유행이 본격화되면서 지난 15일부터 사망자 수는 ‘13명→12명→22명→11명→14명→15명→24명→24명→17명’으로 단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9일간 누적 사망자만 해도 152명이다.주목해야 할 부분은 역대 최다 수치를 이틀째 찍은 지난 22일 24명의 사망자의 연령대 분포다. 이들은 전부 60대 이상 고령자로 확인됐다. 60대가 5명, 70대는 7명, 80대는 12명으로 조사됐다.코로나19 사망자가 늘어난 원인은 이미 방역당국도 파악하고 있다. 요양병원·요양원 등 감염 취약시설 내 고령자 집단발병이 잇따랐고, 이들이 위중중 환자로 변하면서 동시에 사망자도 늘어난 탓이다.◆ 병상 대기 중 사망… 경증 고위험군 대응체계 절실정부는 국립대병원과 상급종합병원에 중환자 병상 확충 요청을 하는 등 대안을 만들고 있지만, 단순히 중환자 병상만 만드는 것이 사망자를 줄이는 해법이 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치명률을 줄이기 위해서는 초기 치료가 중요하기 때문이다.23일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고령자 등 고위험군은 경증일 때부터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 환자의 상태도 시시각각 변하고 언제 중증으로 변할지 예측이 어렵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이러한 고위험군의 특성 때문에 확진 후 2~3일 만에 상태가 위급해지는 고령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 결국 입원 병상 대기를 하다가 사망에 이르는 것이다.요양병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정부와 지자체는 ‘코호트 격리’부터 결정해 제때에 치료받기 어려운 상황에 봉착한다. 이는 감염 확산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코로나 치료와는 거리가 멀다. 특정 공간에 갇혀 초기 치료를 받을 시간을 놓치는 것이다.실제 최근 방역당국의 발표에는 치료 중 사망한 환자가 아니라 요양병원, 요양원에서 숨진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천 교수는 “중증 확진자를 중환자실에 입원시키는 것보다 고위험군에 대한 적절한 초기 대응이 우선이다. 입원 시에 고유량 산소치료기가 필요한 환자는 대응이 이미 늦은 것이다. 확진 후 곧바로 환자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진단했다.그 대안으로 대한감염학회가 주장한 체육관, 컨벤션센터 등을 활용한 대형임시병원을 구축해 고위험군의 경우는 경증부터 관리할 수 있는 단계적 대응 방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그는 “정부는 국립대병원이나 상급종합병원에 병상을 내달라고 요청할 것이 아니라 고위험군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빠른 조처를 할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치명률을 낮출 수 있다”고 언급했다.사망자를 줄이기 위해서는 고위험군에 대한 초기 대응이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코로나19 최일선에 버티고 있는 의료인력을 보강하는 것이 선결과제다. 그러나 코로나19 최일선에 서 있는 의료진은 이미 지쳤다.천 교수는 “탈진한 의료진들이 많다. 의료인력이 너무도 부족하다. 그런데 의사국시 문제가 아직 풀리지 않아 내년 전국 수련병원에 인턴 부족이 현실화됐다. 코로나 대응과 국민 건강권을 위해서라도 의대본과 4학년 학생들이 내년 1월에는 실기시험을 보고 3월에는 진료현장 투입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