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자산 늘었지만…10년간 운용자산이익률·당기순익 추락"올해 수입보험료 성장률 1%대…성장 공백 직면" 하소연이익공유제 동참땐 4대 금융지주 계열 보험사 직격탄
  •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8일 청와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가지고 있는 모습. 문 대통령은 이날 이익공유제에 대해 자발적 참여로 이뤄진다면 대단히 좋은 일이라고 강조했다.ⓒ 뉴데일리DB
    ▲ ▲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8일 청와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가지고 있는 모습. 문 대통령은 이날 이익공유제에 대해 자발적 참여로 이뤄진다면 대단히 좋은 일이라고 강조했다.ⓒ 뉴데일리DB

    문재인 정부와 여당이 이익공유제 주요 참여 업종으로 금융권을 지목한 가운데, 보험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해가 갈수록 보험업황이 나빠지고 있지만 수치상 운용자산이나 단기 순이익 등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가장 큰 이익을 보고 있는 업종은 금융업'이라며 해당 업종을 이익공유제 참여 대상으로 지목했다. 

    당초 여당은 코로나로 언택트 수요가 증가한 플랫폼 기업을 대상 업종으로 삼았으나 갑자기 금융권이 추가된것이다. 

    보험업계는 정부 여당이 이들만으론 '자발적 모금'에 한계가 있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 국내 보험사들의 운용자산은 사상 첫 1000조원을 돌파했다. 같은기간 누적 순이익은 5조 5747억원으로 전년동기(5조 2552억원) 대비 6.1%(3195억원) 증가했다.

    3분기 누적 수입보험료 역시 전년동기 대비 5.0% 증가한 152조 4284억원을 기록했다. 수입보험료는 보험 가입자가 낸 총 보험료 합계로, 제조업 매출액에 해당되는 수치다.

    보험업계는 업황이 수치상으로는 건실하지만 속을 들여다 보면 곪을대로 곪았다는 입장이다.

    보험연구원에 따르면 보험사들의 운용자산이익률은 국고채 금리 인하 영향으로 10년 동안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운용자산이익률은 보험사가 고객이 낸 보험료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는지 보여주는 지표다. 보험사들은 대개 채권과 주식 같은 상품에 투자하고 있어 금리에 영향을 받는다.

    실제 지난 2010년 생보사와 손보사의 운용자산이익률은 5%대인 5.88%와 5.24%였으나, 2019년에는 각각 3.5%, 3.72%로 하락했다.

    2019년 당기순이익 역시 최근 10년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도 10년 전에 비해 1/3수준으로 떨어졌다.

    자기자본이익률은 당기순이익을 자기자본(순자산)으로 나눈 값이다. 지난 2010년 생보사와 손보사의 ROE는 각각 11.3%, 14.3%를 기록했으나, 2019년 3.9%와 5.5%로 크게 내려갔다.

    전문가들은 올해 수입보험료 성장률이 1%대에 그치는 등 보험산업의 성장 정체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다.

    김세중 보험연구원 동향분석실장은 "올해 퇴직연금을 제외한 보험업계 수입보험료가 1.7% 성장에 그칠 것"이라며 "내년 원활한 사업모형의 전환이 이뤄지지 않으면서 보험산업이 성장 공백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업계는 이번 움직임이 사실상 은행권을 주 타킷으로 하고 있는 만큼, 4대 금융지주회사(KB, 신한, 하나,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보험사들의 영향이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거여소야' 정국 속 여당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올해 이익공유제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며 "금융지주사들의 이익공유제 참여가 확정된다면 하위 관계사들의 참여 소분도 함께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일부 보험사들의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말했다.

    노조들도 이번 '이익공유제'에 대해선 난색을 표하는 눈치다.

    한 보험사의 노조 관계자는 "저금리, 코로나19, 새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따른 자본확충 부담 등 보험업계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상황 속에서 이익공유제 동참은 복지 하락과 구조조정 등으로 이어지며 가뜩이나 어려운 보험업계에 악재가 추가되는 꼴"이라며 "은행 등 금융권을 중심으로 이익공유제 실행에 대한 법률 검토를 통해 시장 혼란이 야기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