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2년간 직원 절반 무급휴직 등 담겨오는 7~8일 노동조합 찬반 투표합의 실패땐 2009년 대규모 정리해고 사태 그 이상 충격
  • ▲ 쌍용자동차 경기 평택 공장 ⓒ쌍용차
    ▲ 쌍용자동차 경기 평택 공장 ⓒ쌍용차
    쌍용자동차의 사실상 ‘마지막 기회’나 마찬가지 자구안에 대한 노동조합(노조)의 찬반 투표에 이목이 집중된다.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매각마저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자구안이 회생 불씨를 살릴 수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다만 자칫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대규모 구조조정을 겪은 2009년 ‘쌍용차 사태’를 뛰어넘는 고통이 뒤따를 것이란 우려도 적지않다.

    쌍용차 노조는 오는 7~8일 자구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 투표를 진행한다. 투표 결과는 마지막 날인 8일 오후에 발표될 예정이다.

    쌍용차 최대 2년간 직원 절반이 무급휴직을 시행하는 내용의 자구안을 마련했다. 1년간 기술직 50%와 사무·관리직 30%에 대해 무급휴직에 들어가고, 이후 판매 상황을 고려해 1년 더 유지하는 방안이다.

    임금 삭감과 복리후생 중단 기간은 2023년 6월까지 2년 연장하기로 했다. 임원 급여는 기존 20% 삭감 외에 추가로 20%를 더 깎는다. 모두 비용 절감 차원에서 내린 결정이다.

    이 밖에 부동산 등 자산 추가 매각을 통한 유동성 회수에 나서기로 했다. 노조가 강하게 반발하는 인적 구조조정은 피하면서, 2년간 감원 효과를 내는 ‘궁여지책’을 마련한 것이다.

    회사 측은 “기업 가치 재고와 인수합병 성사를 위해 뼈를 깎는 고통을 분담하기로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최대 2년간 무급휴직에 반발하는 노조원이 많아 자구안이 통과될지 여부는 미지수다.

    업계는 자구안이 수립되지 못할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조합원 절반 이상이 자구안에 찬성하지 않으면 회생계획은 점점 더 꼬이게 된다.

    가장 피해야 할 것은 서울회생법원이 주도하는 구조조정이다. 쌍용차가 마련한 자구안이 통과되지 않을 경우 희망의 끈이 끊어진다. 강한 반발이 예상되는 인적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게 된다. 2009년 대규모 정리해고 사태 그 이상의 충격이 불가피하단 얘기다.

    쌍용차는 지난 1분기(1~3월) 84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17분기째 적지를 면치 못했고 5차례나 감사의견 거절을 받았다. 자본잠식률은 지난 3월 말 기준 86.2%에 달한다. 경영 실적이 나빠져 기초체력, 보유한 현금은 바닥난 상태다.

    자구안 합의를 이뤄내지 못하면 매각도 물 건너가게 된다. 미국 HAAH오토모티브(HAA)와 다른 기업이 쌍용차를 매력적인 인수 대상으로 보기 어려워서다. HAAH가 인수를 성사시키지 못한 원인으로 꼽히는 공익채권은 퇴직급여 충당금을 추가로 쌓아 기존 3700억원에서 6900억원으로 늘었다.

    채권조사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쌍용차의 조사보고서 제출기한은 오는 30일로 밀렸다. 조사보고서에서 쌍용차의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게 나오려면 자구안 이행 작업은 필수적으로 선행돼야 한다.

    이 밖에 산업은행 등 이해관계자와의 협의는 여전히 평행선을 그리고 있다. 자구안 합의 불발은 나쁜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대마불사라는 매우 위험하고 잘못된 생각에서 빠져나와야 한다”며 “생존 위기에 내몰린 상황에서 원인을 두고 노사를 구분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생각”이라고 조언했다.

    정일권 쌍용차 노조위원장은 서울 국회를 찾은 지난 20일 “2009년 이미 2646명이 나갔다”며 “노동자에게 모든 책임을 전가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구조조정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