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엔터·재팬 등 상장 준비그룹 시총 합계 150조원 달할 전망LG그룹·현대차그룹과 대등한 수준
  • ▲ ⓒ카카오뱅크
    ▲ ⓒ카카오뱅크

    카카오 그룹이 카카오뱅크 이후에도 여러 자회사의 대규모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면서 시총 기준 국내 3위 그룹 자리를 노리고 있다.

    16일 한국거래소와 금융정보업체 인포맥스에 따르면 카카오와 카카오뱅크·카카오게임즈·넵튠 등 상장 계열사들의 시총 합계는 지난 13일 기준 107조7886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카카오그룹은 삼성그룹(728조2706억원), SK그룹(206조158억원), LG그룹(150조8940억원·LX계열 제외), 현대차그룹(142조7373억원)에 이어 상장사 시총 기준 그룹 순위 5위를 차지했다.

    카카오그룹은 이미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카카오페이 외에도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재팬의 국내외 증시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 주요 증권사들이 추정한 이들 4개 계열사의 평균 기업가치 합계는 카카오페이 13조원대, 카카오모빌리티 6조원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12조원대, 카카오재팬 9조원대 등 약 41조원대로 나타났다.

    이들 4개사가 모두 상장을 마치면 현재 상장사들 주가가 현재 가격을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그룹 시총 합계가 거의 150조원에 이르러 LG그룹·현대차그룹과 대등한 수준이 된다.

    카카오뱅크의 경우 상장 전 증권사들은 적정 기업가치를 최소 11조원에서 최대 31조원으로 제시했다. 실제 상장 이후에는 주가 급등으로 13일 현재 시총이 36조3927억원에 이른다.

    카카오게임즈는 작년 9월 상장 이후 주가가 4만원대까지 떨어지기도 했으나, 신작 게임 '오딘'의 히트로 7월 이후 급등해 현재 7만7200원, 시총 5조7648억원을 나타내고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기업가치를 놓고 KTB투자증권은 카카오페이지 6조1000억원, 카카오M 4조4000억원, 멜론 3조원, 북미 웹툰 플랫폼 '타파스' 및 웹소설 플랫폼 '래디쉬' 1조3000억원 등을 합산해 총 14조8천억원이 적정하다고 평가했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해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T블루 택시가 2분기 2만6천대로 작년 동기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 택시 확대와 대리운전 시장 점유율 상승으로 수익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라며 5조9660억원의 기업가치를 제시했다.

    일본에서 웹툰 플랫폼 '픽코마'를 운영하는 카카오재팬과 관련해 김소혜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픽코마 매출액이 전년 동기보다 110%나 증가하며 점유율 확대와 실적 성장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며 기업가치를 10조9500억원으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