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확진 2.5만명-위중증 환자 3000명 대비책 필수 중환자·사망자·유행 규모 고려 3~4단계로 구분해 적용 정부, 단계적 일상회복 2차 공개 토론회 개최
-
내달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전환이 확실해진 가운데 ‘최대 확진 2만5000명, 위중증 환자 3000명 발생’ 시나리오를 그려보고 대응책을 만들어야 한다는 전문가 주장이 나왔다. 단계별로 '서킷브레이커(일시 중단)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정재훈 가천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22일 서울 엘타워에서 열린 ‘단계적 일상회복 2차 공개 토론회’에서 이 같은 주장을 펼쳤다.정 교수는 “우리나라가 방역을 비교적 잘했지만 역설적으로 향후 가능한 피해는 더욱 클 수 있다. 단계적 일상회복을 최악의 시나리오로 급격히 적용한다면 몇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할 수 있는 규모”라고 진단했다.델타변이에 필요한 면역 수준은 전국민의 81~84%인데, 백신 예방효과 80%와 접종률 80%을 가정하면 면역 효과는 64%에 그친다는 것이다. 누적 감염자가 전 국민의 1.2~1.8%라고 가정하면 786만~973만명이 추가 감염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이에 따라 평균적 시나리오에 따라 최대 확진자가 2만5000명, 중환자가 3000명으로 나오는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계 진입의 조건으로는 ▲중증환자 병상 예비율 ▲중환자·사망자수 ▲유행 규모 등을 고려해 3~4단계로 구분해 도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특히 그는 “유행의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중환자 병상이 포화에 이르는 경우 증권가의 서킷 브레이커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서킷 브레이커 발동 조건으로 중환자 병상 가동률 80%, 5000명 이상 대규모 유행 증가 추세 등이 제시됐다. 해당 조치가 발동하면 4주 내외로 사적 모임 제한 등을 일시적으로 적용하고, 접종 증명을 강화하는 조치가 시행돼야 한다는 것이다.백신 패스의 경우는 대중교통·의료시설·마트·직장 등 사회적 필수 기능에는 제외하고, 고위험시설 위주로 적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행상황 개선에 따라 적용 유무를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또한 역학조사 등 방역 현장에서도 심증 역학조사에서 접촉자 추적, 수기명부 등 저효율 수단 개편 등을 통해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정 교수는 “단계적 일상회복은 점진적인 접근을 통해 유행 곡선을 평탄화하는 전략을 써야 한다. 예상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 유행 곡선을 평탄하게 만들어 최상의 곡선을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