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KB자산운용, 글로벌 핵심 수소기업 투자 ETF 수소 생산∙발전·저장∙공급 하는 글로벌 기업 투자
  • ▲ ⓒ한화자산운용
    ▲ ⓒ한화자산운용
    수소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전 세계 핵심 기업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15일 코스피 시장에 상장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의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 ETF’와 KB자산운용의 'KBSTAR 글로벌수소경제 Indxx ETF'가 각각 상장됐다.

    한화운용의 ARIRANG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MV ETF는 수소를 생산∙저장∙운송∙충전∙활용하는 글로벌 기업 25∼30개에 투자한다. 매출의 50% 이상을 수소 또는 수소연료전지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되, 연료전지 관련 기업에 더 집중투자한다.

    추종지수는 미국 MVIS사의 ‘블루스타하이드로젠&넥스트젠퓨어셀’ 지수다. 주요 구성 종목은 플러그파워, 넬, 발라드 파워 시스템, 두산퓨얼셀 등이다.

    국가별 비중은 1월 말 기준 미국이 20.6%로 가장 높다. 영국(18.3%), 캐나다(10.3%), 프랑스(10.3%), 한국(9.2%)이 그 뒤를 이었다. 운송 및 발전용 연료전지 기업이 많이 포진된 미국과 주요 수소 생산 기업이 위치한 유럽의 비중이 높다.

    김성훈 한화운용 ETF사업 본부장은 “수소는 에너지 공급 구조의 패러다임을 바꿀 메가트렌드”라며 “전 세계 주요국의 정책적 지원에 기술 발전 속도가 빨라질 수 있어 장기투자 관점에서 관련 기업과 시장 동향을 꾸준히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KB자산운용
    ▲ ⓒKB자산운용
    KB운용의 KBSTAR 글로벌수소경제 Indxx ETF는 미국 인덱스(INDXX)의 'Indxx 수소경제 지수(Hydrogen Economy Index)'를 기초 지수로 추종한다. 수소 밸류체인 산업에 해당하는 글로벌 기업 중 상위 30개 종목을 담고 있다.

    지난 1월 말 기준 하위 테마별 비중을 보면 수소 연료 전지와 배터리(37.2%), 수소 생산 및 발전(38.4%), 수소 저장 및 공급(13.6%), 수소 시스템 및 솔루션(10.7%) 순으로 구성됐다. 국가별 비중은 미국(38.1%), 일본(22.1%), 프랑스(12.4%), 한국(7.0%), 영국(6.2%) 순이다.

    대표적인 지수 구성종목은 에어리퀴드(10.7%), 블룸에너지(7.1%), 플러그파워(6.8%)이며 이외에도 발라드파워시스템, 린데 등이 있다.

    육동휘 KB운용 ETF컨설팅실 실장은 “2020년 수소 생산 시장 규모는 약 1억톤 수준으로 화석연료 에너지 시장의 2% 수준이지만, 2050년에는 10%까지 확대될 전망”이라며 “최근 민간 부분에서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며, 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