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1755달러 → 3만5168달러명목소득 7% 늘었지만 실질소득 3.5% 증가에 그쳐교역악화·무역손실에 얇아지는 월급봉투
  • ▲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한 주부가 제품가격을 비교하고 있다ⓒ강민석 사진기자
    ▲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한 주부가 제품가격을 비교하고 있다ⓒ강민석 사진기자
    지난해 우리 국민 1인당 총소득이 처음으로 3만5000달러를 넘어섰다. 2020년 보다 10% 이상 늘어났지만, 실질 국민총소득은 3.5% 증가에 그쳤다. 물가는 천정부지인데 월급은 오르지 않는다는 체감소득을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는 3만5168달러로 전년대비 10.3% 증가했다. 원화로 따지면 4024만7000원으로 전년대비 7% 늘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는 1조7978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대비 9.7% 증가했다. 원화로는 2057조4000억원으로 재작년보다 6.4% 늘어났다. 명목 GNI는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어난 2082조6000억원으로 GDP 증가율보다 높은 6.9%를 기록했다.

    전체 경제규모는 부쩍 커졌지만, 실질 GNI 증가는 그에 미치지 못했다. 국민들의 실제 구매력을 나타내는 실질 GNI는 3.5%로 증가로 명목 소득증가율 7%의 절반에 그쳤다. 국외 취득 소득은 늘었지만, 교역조건 악화로 무역손실 규모가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실질 국내총생산은 건설업 부진에도 불구하고 제조업과 서비스업 동반 증가로 전년대비 4.0% 성장했다. GNI 성장율 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출항목별로는 건설투자는 감소했으나 설비투자와 정부소비가 증가세를 지속했다. 수출과 민간소비도 증가세로 전환했다.

    하지만 명목 GDP와 실질 GDP 격차가 커지면서 GDP 디플레이터는 2.3% 상승에 그쳤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것으로 모든 물가요인을 포괄하는 물가지수다. 2.3% 상승률은 6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데 생산 증가량보다 물가 지수 상승세가 가파르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에 대해 최정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GDP 디플레이터는 국내 물가 뿐 아니라 수출입 물가 움직임도 반영하고 있다"며 "우리나라처럼 수출 비중이 크고, 반도체나 원유 수출입 비중이 높은 나라에서는 GDP 디플레이터를 통해 국내 물가를 판단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4분기만 떼어 보면 실질 GDP는 전기대비 1.2% 성장했다. 속보치보다 0.1%p 상향됐다. 농립어업(1.5%), 제조업(1.1%), 건설업(2.4%), 서비스업(1.4%) 등 모든 분야에서 증가했다.

    지출항목별로는 승용차를 중심으로 민간소비는 줄었으나 숙박음식, 오락문화 등 서비스와 준내구재(의류 등)에서 1.6%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1.3% 증가했고, 건설투자는 2.9% 증가했다. 수출은 반도체,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을 중심으로 5.0% 늘었고, 수입은 원유, 화학제품 등이 늘어 4.8% 증가했다.

    실질 GNI는 GDP 증가에도 불구, 0.6% 감소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1.4% 증가했지만 무역손실 규모가 확대되면서 실제 국민소득은 감소했다.

    총저축률은 35.4%로 최종소비지출 증가율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며 전기대비 0.5%p 하락했다. 국내총투자율(32.3%)은 건설 및 지식재산생산물 투자 등이 늘어나면서 전기대비 0.7%p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