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 기반으로 국가혁신체제 새로 구축"인구감소 시대에 인재 양성 위한 체계 갖출 것"경제, 산업, 사회 전 부문의 디지털 혁신 목표
  •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 장관은 민간 투자를 유도해 10~20년후까지 책임질 미래 혁신기술을 선점하겠다고 밝혔다.

    20일 이 장관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은 새로운 미래 먹거리를 발굴하고 대한민국의 성장엔진을 점화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열쇠"라며 "이런 인식을 바탕으로 과기정통부가 새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과업을 치열하게 고민하고 설계해 지난주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이 장관은 민관 협력 기반으로 국가혁신체제를 새롭게 구축하고 선도형 기술혁신과 디지털혁신을 확산해 국가사회 발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5개 핵심과제를 선정했다고 보고했다.

    이 장관은 "가장 먼저 기술패권 경쟁 시대에 초격차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 R&D체계를 정부 주도에서 민간 중심으로 혁신하겠다"며 "이를 위해 국가전략기술을 육성하고 R&D예비타당성 조사도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는 등 제도 개선을 이뤄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민간과 함께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공공의 기술을 민간에 이전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민간 투자를 유도해 10~20년 후까지 책임질 미래 혁신기술을 선점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장 중요한 자산은 사람이란 점을 강조하면서 인구감소 시대에 질적으로 탁월한 인재를 키우기 위해 차별화된 인재 양성체계를 갖추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이 장관은 "국가사회 전반에 디지털 혁신을 더욱 가속화하겠다"며 "난제 해결 AI 프로젝트, 디지털플랫폼 정부, 자율성이 높은 바우처 방식의 지원 등 민간중심으로 경제, 산업, 사회 전 부문의 디지털 혁신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어 "모두가 행복한 기술을 확산하겠다. 통신비 부담 완화와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 제고, 플랫폼 상생 생태계 조성 등 따뜻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