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사 및 주력 계열사 무더기 행정소송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엔터 등 과징금 1000억 육박비주력 계열사 축소 작업 지속준신위, 그룹 투자·감사 준칙 마련
-
카카오 본사를 비롯해 주력 계열사들이 정부로부터 1000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받으면서 행정소송이 한창이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의 사법리스크까지 맞물리면서 그룹 내 위기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어수선한 분위기 속에서도 카카오는 비주력 계열사 축소를 통해 그룹의 문어발식 확장 근절에 고군분투하고 있다. 그룹의 투자·감사 준칙을 마련하고 의사결정의 투명성도 강화하는 데 한창이다.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엔터 등에 시정당국의 과징금 철퇴가 내려졌다. 이에 불복한 행정소송이 동시다발적으로 진행 중이다.카카오 본사는 지난 5월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안전 조치 의무 위반으로 과징금 151억 4196만원을 부과했다. 카카오톡 오픈채팅 이용자의 개인정보가 불법 거래되고 있음에 불구하고, 이용자에게 통지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10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경쟁사의 콜(호출)을 차단한 혐의로 과징금 724억원을 부과받았다. 공정위는 지난해 2월에도 카카오모빌리티에 택시배차 알고리즘 조작과 관련 시정명령을 내리고 과징금 257억원을 부과한 바 있다.카카오엔터 역시 올해 2월 공정위로부터 전자상거래법 위반으로 시정명령과 과징금 9800만원을 부과받았다. 멜론이나 카카오톡 등을 통해 정기 결제형 음원서비스 중도해지 신청을 충분히 알리지 않았다는 점에서다.카카오페이의 경우 2018년부터 알리페이에 542억건의 신용 관련 개인정보를 고객 동의 없이 제공한 의혹을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받고있다. 이에 개인정보위원회로부터 과징금 조치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이처럼 전방위적인 정부의 중징계가 쏟아지면서 그룹의 위기감도 해소되지 않는 형국이다. 카카오는 비상경영을 지속하면서 계열사 슬림화 작업을 통한 경영효율화로 반전을 모색 중이다.공정위에 따르면 11월 기준 카카오의 계열사는 122개로, 전년 대비 21개가 줄었다. 올 초부터 카카오게임즈의 자회사 세나테크놀로지 지분 매각, 카카오 헤어샵, 카카오VX 매각 등 계열사 정리에 나섰다. 헬스케어 플랫폼, NFT(대체 불가능 토큰) 사업 등도 철수하며 몸집 줄이기에 한창이다.이는 카카오를 벼랑 끝으로 내몬 원인인 문어발식 확장 기업 이미지에서 벗어나고, 선택과 집중을 하겠다는 전략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카카오 협약계열사의 준법·신뢰경영을 지원하는 독립 기구인 카카오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를 통해 문어발식 확장을 막을 내부 준칙도 마련했다. 준신는 카카오 그룹이 준신위 권고에 따라 투자 책임감을 높이고, 감사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투자 및 감사 관련 준칙'을 정립했다.이번 준칙은 투자테이블 운영준칙, 투자자산 평가 및 모니터링 준칙, 그룹 감사업무 운영준칙 등 카카오 그룹이 투자·감사시 준용해야 하는 필수적인 제반 사항들을 명문화 했다. 그룹 감사업무 운영준칙은 감사업무를 CA협의체 책임경영위원회(책경위)로 일원화해 각 협약계열사의 감사 조직 독립성을 보장함으로써 실효성을 높이는 데 주안점을 뒀다.업계 관계자는 "그룹과 계열사 전방위적인 행정소송과 사법리스크로 조직의 위기감이 불가피할 것"이라면서도 "다만, 경영쇄신을 통한 효율화 작업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어 회복 가능성이 엿보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