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5%→2.50% 전망"물가 4.5% 이상, 성장 2.7% 이하""고물가 고착, 경제전반에 더 큰 피해"
-
한국은행이 사실상 이달 기준금리 0.25%p 인상을 예고했다. 이로써 25일로 예정된 통화정책방향회의서 기준금리는 기존 2.25%에서 2.50%로 상향 조정될 전망이다.한국은행은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제출한 업무현황 보고서에서 "향후 물가와 성장흐름이 현재 전망 경로를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 기준금리를 0.25%p씩 점진적으로 인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최근 물가 오름세가 지속된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두달 연속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p 인상)을 단행하며 한은 역시 기준금리를 0.50%p 인상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으나 이를 일축한 셈이다.한은은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보고서에서 한은은 "올해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 전망 수준(4.5%)을 상당폭 상회하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 수준(2.7%)을 소폭 하회할 것"이라 밝혔다.그러면서도 "현 시점에서 물가 리스크가 더 크고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불안으로 2차 효과가 증폭되면서 고물가가 고착되면 경제 전반에 더 큰 피해를 초래할 것"이라 우려했다.특히 한은은 "당분간 높은 물가 오름세가 지속돼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갈 필요가 있다"고 했다.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수준이 2.25~2.50%로 한국보다 높아진 한미금리 역전 현상에 대해서는 크게 우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보고서는 "원화 금융 자산에 대한 기대수익률 하락 등이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자금 유출 압력으로 작용하겠으나 현재로서는 외국인 투자자금이 대규모로 유출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했다.다만 잠재적 금융 불안 가능성으로 미국 연준의 잇따른 금리 인상과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등을 거론했다.한은은 "하반기 이후에는 주요국 금리인상 가속과 우크라이나 사태 등에 따른 글로벌 경기둔화로 경기의 하방리스크가 증대됐다"면서 "특히 수출의 경우 중국, 미국 등 주요 교역상대국의 성장세 둔화로 증가세가 약화할 것"이라는 분석했다.이어 "미국과 중국, 유럽 등 주요국의 성장세가 약화하면서 세계 경제의 둔화 흐름이 지속돼 우리나라도 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