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감소·금리상승 직격탄 '소비위축'주요 수출상대, 미국 -0.1% 중국 -2.3% '역성장''수출감소-금리상승-소비위축' 쓰나미… "하반기 더 어려워"
-
우리나라가 지난 2분기 0.7%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을 포함한 주요 35개국 중 20위에 머물렀다.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라 경제 구조상 미국·중국 등 글로벌 경기 둔화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한국은행은 수출 감소와 금리 상승에 따른 소비 위축까지 겹쳐 하반기 경제 성장이 더 힘겨워질 것으로 예상했다.12일 한은에 따르면 리투아니아·콜롬비아·코스타리카·룩셈부르크·뉴질랜드를 제외(통계 미발표 등)한 33개 OECD 회원국에 중국·인도네시아를 포함한 35개국의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0.7%로 20위 수준이었다.지난 1분기에 비해 우리나라는 18위(0.6%)에서 두 계단 떨어졌다.2분기 경제 성장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아이슬란드(3.9%)였고, 이어 네덜란드(2.6%), 튀르키예(터키·2.1%), 아일랜드(1.8%), 이스라엘(1.7%), 오스트리아(1.5%), 그리스(1.2%), 스페인(1.1%), 이탈리아(1.1%), 헝가리(1.0%)가 10위 안에 들었다.주요 경제 대국 중에서는 일본(0.9%)이 17위, 프랑스(0.5%)가 24위, 독일(0.1%)이 27위, 미국(-0.1%)이 31위를 기록했다.중국(-2.3%)은 2분기 성장률 통계가 확인된 35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는데, 결국 우리나라 양대 수출 상대국인 미국과 중국 경제가 모두 2분기에 뒷걸음치면서 우리나라 성장률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실제로 2분기 우리나라의 수출은 1분기보다 3.1% 감소했고, 결과적으로 순수출이 2분기 성장률을 1.0%포인트(p)나 끌어내렸다.문제는 하반기에 이런 수출 감소 등에 따른 성장 둔화가 더 뚜렷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한은은 지난 8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성장과 관련해 "상반기까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잠재 수준을 상회하는 양호한 성장 흐름을 보였지만, 최근 들어 투자와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 모멘텀이 점차 둔화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경기 하강의 주요 원인으로는 무엇보다 글로벌 성장 둔화가 꼽혔다. 미국은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유로 지역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에 따른 에너지 수급 차질로, 중국은 코로나19 봉쇄조치와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 등으로 성장률이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여기에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계속 오른 기준금리가 성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도 올해 하반기부터 나타날 것으로 우려됐다.한은은 "그동안 쌓인 부채와 높아진 자산 가격이 통화정책 긴축의 영향을 확대할 소지가 있고, 저소득·과다 차입 가계를 중심으로 소비 제약 효과가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수출 부진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입 증가가 겹쳐 당분간 우리나라는 무역수지 적자에서도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한은은 앞서 6일 '최근 무역수지 적자 원인·지속가능성 점검' 보고서에서 최근 무역수지 적자의 대부분이 석유 등 에너지 관련 제품의 수입단가 상승 탓으로 분석했다.아울러 "국제 유가가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둔화의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수출 둔화와 수입 증가에 따라 당분간 무역수지 적자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다만 지난 7월 하향 조정된 올해 성장률 전망치(2.6%)의 경우, 올해 남은 3분기와 4분기에 0.1∼0.2%(전분기대비)씩만 성장하면 달성할 수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