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조 투입해 2조 회수…헐값 매각 논란산은 빠른 매각 입장과 한화 방산 강화 이해 맞아 떨어져대우조선, 단기간 내 재무 개선·경쟁력 강화 어려워
-
대우조선해양이 한화그룹에 2조원에 팔린다는 소식에 헐값 매각 논란이 일고 있다.지난 20년간 직·간접적으로 대우조선해양에 최대 13조원이라는 막대한 공적자금이 투입된 것에 비해 매각 규모가 턱없이 낮다는 이유에서다.하지만 전문가들은 대우조선해양의 재무구조나 경영상황, 향후 비전 등을 고려했을 때 지금 민간기업에 매각하는 것이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최선책이라는 지적이다.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와 KDB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을 한화그룹에 매각키로 발표하자, 헐값 매각이라는 비판이 흘러나오고 있다.현재까지 7조원이 넘는 국민혈세가 투입된 대우조선해양을 3분의 1 수준인 2조원에 매각하기 때문이다. 대우조선에 들어간 공적자금은 그 산정방식과 형태에 따라 최대 13조원에 달한다고 보기도 한다.또 조선업황이 본격적인 사이클에 올라타 오는 2024년이면 흑자전환이 기대되는 상황에서 너무 서두른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하지만 과거 인수합병 추진 시점과 비교하면 현 대우조선의 재무상황은 악화일로다.대우조선의 부채비율은 올해 6월 기준 713%로, 2007년 368% 대비 2배 수준으로 높다. 시가총액 역시 2007년 약 9조원에서 이날 기준 2조975억원 수준으로 줄었다.산업은행 입장에서는 경영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여태까지 들인 자금을 모두 회수해 제값을 받을 가능성보다 빠른 매각을 통해 추가적인 혈세 투입을 막는 편이 더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또 이번 매각은 대우조선 민영화를 정권 초반에 마무리하려는 정부 의지와 방산 부문을 강화하려는 한화그룹의 니즈가 충족된 결과로 볼 수 있다.한화그룹은 14년 전에 대우조선을 6조3000억원에 인수하려고 했다가 실패한 바 있다.전문가들은 그동안 투입된 비용에 비해 매각가 2조원이 적다는 데는 동의하지만 대우조선의 부실 규모가 커 단기간 내 개선과 경쟁력 강화 쉽지 않다고 보고 있다.산업은행 자회사로 있었던 21년간 경영 정상화에 실패한 만큼 민영화를 통해 경영 정상화의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국가 차원에서도 대우조선 입장에서도 더 낫다는 것이다.김용환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는 “대우조선의 부채가 10조원 정도인데, 부채 중 선수금과 같은 계약부채와 충당금을 제외하면 실제 부채는 6조원가량일 것으로 보고 있다”며 “이미 6조원의 부채를 가진 회사가 단기간 내 자력으로 정상화되기는 매우 어렵다”라고 설명했다.김 교수는 “주식에 비유하자면 주가는 계속 떨어지는데 언젠가 오르면 팔겠다는 희망으로 계속 들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라며 “투입된 혈세에 비하면 2조원이라는 값이 낮을 수는 있지만 지금 사겠다는 주인이 등장했을 때 어느 정도 손실은 감수하고 민간에 넘기는 것이 국가에도 기업에게도 최선이라고 판단된다”고 강조했다.이장현 인하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도 “현재 대우조선은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울 수가 없기 때문에 회사 경쟁력은 점점 떨어질 수밖에 없고 자구책에도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이번 매각으로 당장 현금 상 큰 손해가 난 것처럼 보이지만 빠른 매각으로 제대로 된 경영진이 갖춰지고 장기적인 발전 플랜을 세우면 대우조선뿐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훨씬 이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