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킨 코로나 대응체계 탓 확진자 응급실 전원 요청 ‘급증’응급의학의사회, 2등급 준하는 관리체계 변화가 ‘현명’ 과도한 행정적 개입이 응급환자 골든타임 놓쳐
-
7차 유행이 본격화하면서 또 ‘병상 대란’ 우려가 커진다. 특히 이번엔 낮은 동절기 접종 탓에 고위험군 위중증 비율이 높아지고 올해 말 거점전담병원 종료까지 겹쳐 코로나 병실 가동률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특히 병상 포화의 전조인 응급실 가동이 버거워져 코로나 외 환자 대응이 어려워지는 부작용 발생 조짐이 포착되고 있다. 결국 이번 유행파는 병원별 자율적 대처가 중요하다는 의견이다.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집계 자료에 따르면, 21일 0시 기준 위중증 환자는 465명으로 집계됐다. 주간 일평균 위중증 환자인 414명과 비교하면 51명 많은 숫자다.이에 따라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날 오후 5시 기준 33.6%로 집계됐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60%를 넘어섰다. 수도권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지난주 이미 50%를 넘겼다.방역당국은 “병상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며 “11월 말부터 추가적으로 활용 가능한 중증, 준중증 병상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줄었다가 늘리는 병상 확보의 한계병상 대란이 불거지면 자연적으로 응급체계부터 엉키기 시작한다. 코로나 외 중증 응급환자들의 적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부작용이 나타나는데, 정부의 고민은 이 영역까지 미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응급실은 확진자 수가 적었을 때는 대응이 가능했지만 유행이 본격화됨과 동시에 수월한 업무가 진행되기 어려운 구조로 변했다. 전반적 코로나19 의료대응 체계를 줄이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확진자의 응급실 전원을 요청하는 건수가 늘어났다.결국 확진자가 오면 다른 응급환자를 보기 어려운 상황이라 공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병상 대란의 전조인 응급체계 과부하는 벌써 시작된 것이다.이형민 응급의학의사회장은 “코로나19를 2급 감염병으로 분류했으면서도 현장에서는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병상 확보의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원인”이라며 “지금은 병원별로 확진자를 자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이어 “단순 발열, 경증 확진자의 진료를 위해 응급실을 가동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병상 대란은 과도한 행정적 개입에 따른 것으로 2등급에 속하는 독감과 수족구 환자와 같은 관리체계로 변화하는 것이 중요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특히 “과도한 행정적 개입으로 사안을 풀려고 하니 계속 상황이 엉켜 응급 이송체계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것이 두렵다”며 “본질적 문제에 대한 고민을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