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정책심의委 개최… 내년 3월부터 장기추적조사안전관리‧임상연구‧치료접근성‧혁신 생태계 구축 목표조규홍 장관 “치료제 상용화 차원서 집중 투자”
  •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2 첨단재생바이오 정책심의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22 첨단재생바이오 정책심의위원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임상연구가 가능한 재생의료 실시기관이 병원급에서 의원급으로 확대된다. 또 고위험 임상의 승인절차를 개선하는 한편 연구설계·행정·재정 등 전주기 지원이 강화된다.

    보건복지부는 13일 조규홍 복지부 장관 주재로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정책심의위원회를 열어 ‘제1차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기본계획’ 중 내년도 시행계획을 심의했다.

    핵심 안건은 6개 부처(복지‧과기‧산업‧중기‧식약‧질병)가 수행하고 있는 3대 분야, 총 46개 정책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첨단재생바이오 안전관리 제도화,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치료접근성 확대, 기술촉진 혁신생태계 구축이 주요 목표다. 

    이를 위해 먼저 재생의료 실시기관 대상(병원급→의원급) 확대하는 등 내년부터 우선 추진 가능한 과제들을 적극 추진하고, 추가적인 제도 개선을 지속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또 첨단재생의료 임상연구와 첨단바이오의약품 임상시험 이후 장기적인 안전성과 유효성 확인을 위한 장기추적조사 수행체계에 대해 그간의 경과와 운영 현황 등을 논의했다.

    임상연구는 위원회가 장기추적조사 대상으로 의결한 경우에 하며, 현재 6건이 조사 대상으로 첫 조사는 내년 3월부터 시작된다.

    아울러 세포치료 분야의 글로벌 환경 변화와 국내 핵심 공백 기술 등을 분석한 세포치료 기술 로드맵을 논의했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적 연구개발(R&D)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책심의위원장인 조규홍 장관은 “정부는 첨단재생의료 지원 확대를 국정과제에 포함하고 바이오헬스산업의 차세대 주력 분야로 육성하기 위해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도 제약바이오 분야의 강점과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역량 등을 기반으로 머지 않아 세계가 주목하는 첨단재생의료기술과 치료제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정부 차원에서 전주기 R&D 집중 투자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위워장인 오유경 식약처장은 “오늘 논의된 안건들을 추진해 희귀난치병으로 고통받는 국민께 도움이 되고, 우리나라가 글로벌 첨단재생의료 기술 강국으로 발돋움할 정책적 토대가 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