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가폭 8개월째 둔화… 22개월 만에 최소 수준실업자 1년 만에 다시 100만명 웃돌아… 기저효과·경기둔화 겹쳐수출 부진 여파에 제조업 15개월 만에 감소 전환
-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41만1000명 늘었지만, 증가 폭이 8개월째 둔화하며 22개월 만에 최저 수준을 보였다. 경기둔화 심화에 기저효과가 겹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15일 통계청이 내놓은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36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41만1000명 증가했다. 지난 2021년 3월(31만4000명) 이후 최소 증가 폭이다.취업자 수 증가세는 2021년 3월 이후 23개월 연속 이어졌다. 하지만 증가 폭은 지난해 5월(93만5000명)을 정점으로 둔화하고 있다. 여기에는 지난해 1월 취업자가 113만5000명이나 늘었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작용했다.나이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40만 명, 50대 10만7000명, 30대 1만7000명 각각 증가했다. 반면 40대에서 6만3000명, 20대 이하에서 5만1000명 각각 감소했다. 60세 이상이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97.3%를 차지했다. 20대 이하 취업자는 3개월 연속, 40대는 7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업종별로는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았던 숙박·음식점업(21만4000명)과 보건·사회복지업(22만 명)에서 주로 취업자가 늘었다. 금융·보험업(1만6000명) 13개월 만에 반등했다.상대적으로 괜찮은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은 수출 부진 등의 여파로 3만5000명 줄었다. 2021년 10월(-1만3000명) 이후 15개월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도·소매업(-6만1000명), 건설업(-3만9000명), 운수창고업(-5만1000명)도 취업자가 줄었다.취업시간대별 취업자 현황을 보면 통상 전일제 근무로 간주하는, 일주일에 36시간 이상 일하는 취업자는 12만8000명 감소했다. 반면 36시간 미만 취업자 수는 47만 명 늘었다. 주당 1~17시간 단시간 근로자도 13만4000명 증가했다.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57만5000명 는 반면 임시근로자는 5만2000명, 일용근로자는 7만 명 각각 줄었다.코로나19 방역 완화로 말미암아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을 둔 자영업자는 5만4000명 늘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2만5000명 줄어 48개월 만에 감소로 돌아섰다.15세 이상 고용률은 60.3%로 1년 전보다 0.7%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월간 통계 작성 이후 1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15∼64세 고용률도 67.8%로, 1월 기준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실업자 수는 102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월(114만3000명) 이후 1년 만에 다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실업률은 3.6%였다. 1년 전보다 0.5%p 내렸다.한편 정부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취업자 증가 폭을 10만 명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증가 폭(80만 명)의 12.5%에 불과한 수준이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기조효과까지 겹치면서 고용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을 거로 전망했다. 전망이 현실화한다면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자 수가 감소한 2020년(-22만 명) 이후 최소를 기록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