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105.5%에서 3.3%p 낮아져 2년 간 긴축 효과 소폭 작용한 듯기업대출은 오히려 증가
  • ▲ 자료사진 ⓒ뉴시스
    ▲ 자료사진 ⓒ뉴시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GDP) 대비 102.2%로 세계34개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2년 간 통화 긴축 기조가 이어지는 동안 신용이 큰 폭으로 줄어들지 않은 결과다. 향후 가계빚이 확대될 경우 금융 안정이나 경제 성장에 어려움이 뒤따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국제금융협회(IIF)가 발표한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기준 세계 34개 나라(유럽연합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 조사 결과 한국이 102.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홍콩(95.1%) ▲태국(85.7%) ▲영국(81.6%) ▲미국(73.0%) ▲말레이시아(66.1%) ▲일본(65.2%) ▲중국(63.6%) ▲EU(55.8%) ▲싱가포르(48.2%) 순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는 이번 조사 대상 국가 중 유일하게 가계 부채가 경제 규모(GDP)를 앞질렀다. 1년 전인 2022년 1분기와 견줘 봤을때  우리나라의 가계 부채 비율은 105.5%에서 102.2%로 3.3%p 낮아졌다.

    지난 2021년 8월부터 시작된 기준금리 인상을 통한 통화긴축 현상이 가계부채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같은기간 가계부채는 소폭 감소세를 보였으나 기업부채는 오히려 증가했다. 

    GDP 대비 한국 비(非)금융기업의 부채 비율은 1분기 기준 118.4%로 홍콩(269.0%), 중국(163.7%), 싱가포르(126.0%)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의 부채 비율은 1년새 3.1%p(115.3→118.4%) 뛰었다.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44.1%로 22위를 기록했다.

    지난 2년 간 계속된 통화 긴축 속 가계와 기업 등의 신용이 충분한 감소세를 보이지 않은데 따라 향후 신용 증가 땐 금융 안정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도 뒤따른다. 

    한국은행이 과거 가계부채 증가가 GDP 성장률과 경기침체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계신용 증가가 3~5년 간 시차를 두고 경기침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가계신용이 80%가 넘는 경우 경기 침체발생 확률이 더 높았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지난 25일 가계대출과 관련해 "(GDP의) 80% 수준까지 낮추는 것은 중장기 과제로 가계대출은 부동산 정책과도 관련이 있어 범정부적으로 가계대출 비율을 낮추고  구조개선 어떻게 해야 할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과 함께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