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 이달 2.5만명서 2030년까지 100만명분 확대디지털 헬스·정밀의료 분야 강국 전환 드라이브 지선하 교수 "단기간 승부 아닌 다음 세대를 위한 근거"
-
정부가 디지털 헬스케어 강국으로의 전환을 위해 개인 임상 및 유전자 정보가 담긴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힘을 싣는다. 이달 말부터 2만5000명의 정보를 먼저 개방한 이후 2030년까지 100만명으로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연구자들은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에 힘을 실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변화로 평가하면서 눈앞의 성과를 재촉하긴 보단 다음 세대를 위한 근거로 작동할 수 있도록 범부처 차원의 장기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질병관리청은 범부처 사업인 바이오 데이터 구축에 앞서 시행된 시범사업을 통해 수집된 2만5000명분의 연구자원을 전면 개방한다고 19일 밝혔다.이번에 공개되는 바이오 빅데이터는 개인 건강정보와 전장유전체(한 생물체 염기서열 전체) 분석 데이터를 비롯해 DNA와 혈청, 혈장, 혈액과 소변 같은 인체 유래물을 포괄한다.구체적으로 희귀질환자 DB(누적 1만4905명분)와 일반연구과제에서 기탁받은 임상·유전체 자료 DB(누적 9797명분) 등이 포함됐다.또 울산 1만명 게놈프로젝트와 자폐스펙트럼장애와 대장암·폐암·치매 연구 과제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에서 수집한 9797명의 임상과 유전정보도 담긴다.이들 연구자원을 활용하면 희귀질환 진단을 고도화하거나 한국인이 많이 걸리는 당뇨와 고혈압, 그 합병증에 관련된 유전 인자를 분석해 치료와 질병 발생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지영미 질병청장은 "내년부터 100만명 규모 한국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며 "디지털 헬스 시장에서 기술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연구자원을 활용하고 싶은 기업과 연구자는 국립보건연구원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포털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국내 바이오 빅데이터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지선하 연세의대 교수는 "국가 단위로 대규모 사업이 진행되는 것은 긍정적인 변화지만 갈 길이 너무 멀기 때문에 민간에서 진행되는 사업과의 연계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이어 "앞으로 30년은 관련 데이터를 통한 연구가 진행돼야 선천적 유전정보와 후천적 변화에 따른 다양한 양상을 알아낼 수 있다"며 "암뿐만 아니라 여러 질환에 대한 예측과 대응은 다음 세대를 위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특히 "이 분야는 단기간에 승부가 나지 않는 영역으로 차분하게 장기전을 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자세"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