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0MW급 초대형 발전용 가스터빈 첫 수주세계 최초 400MW 초대형 수소터빈 개발 박차
  • ▲ (왼쪽부터)김호빈 한국중부발전 사장과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이 27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보령신복합발전소 주기기 계약 체결 서명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 (왼쪽부터)김호빈 한국중부발전 사장과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이 27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보령신복합발전소 주기기 계약 체결 서명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한국형 표준 가스복합발전소 건설이 본격 추진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한국중부발전과 2800억원 규모 보령신복합발전소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보령신복합발전소는 한국형 표준 가스복합 모델이 적용되는 첫 번째 프로젝트다. 그동안 국내 가스복합발전소는 여러 종류의 외산 가스터빈이 공급돼왔으며 이로 인해 효율적인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두산에너빌리티는 2019년 발전용 대형 가스터빈 국산화에 성공하고, 2021년부터 340여개 국내 산학연과 한국형 표준 가스복합 모델을 국책과제로 개발해 왔다.

    총 발전용량 569MW 규모의 보령신복합발전소는 2026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충남 보령시에 건설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380MW규모 H급 초대형 가스터빈을 비롯해 스팀터빈, 배열회수보일러(HRSG)를 공급한다. H급은 1500℃ 이상 고온을 견딜 수 있는 초내열 합금 소재로 제작한 고효율 터빈을 말한다.

    가스터빈은 연소기 노즐 및 일부 부속설비 변경을 통해 탄소배출 저감이 가능한 수소터빈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한국중부발전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보령신복합발전소의 수소복합발전소 전환을 계획하고 있다.

    두산에너빌리티는 국내 산학연과 함께 고효율 H급 수소터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울러 세계 최초로 400MW급 초대형 수소 전소 터빈을 2027년 목표로 개발하고 있다. H급 수소터빈은 기존 수소터빈(E급) 대비 연간 약 600억원의 연료비 절감과 연간 약 5만톤 추가 탄소배출 감축이 가능하다.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은 “대한민국 가스복합발전의 표준을 제시하는 국내 첫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돼 매우 뜻깊다”며 “회사 역량을 총동원해 프로젝트를 완수하고, 이를 통해 국내 가스터빈 산업 생태계 활성화는 물론 해외 시장 진출의 초석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