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대출 연체율 0.37%가계·중기·PF 모두 증가연체채권 정리에도 연체율 상승세가 더 가팔라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2금융권 연체율이 급등한데 이어 은행권까지 대출연체에 대한 부실 징후가 심상치 않다. 

     ‘영끌’ 등으로 부동산·주식에 투자에 나섰던 개인 투자자들이 고금리, 경기침체에 대출이자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면서 상환 한계를 맞은 것으로 풀이된다. 

    1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올해 4월말 기준 0.37%로 지난해 4월말 0.23% 대비 0.14%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 2020년 8월 0.38%를 기록한 이후 3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로 불과 1년여 만에 연체율이 큰 폭으로 높아졌다.

    지난 4월 중 새로 발생한 연체액은 1조7000억원으로 지난 달보다 1000억원 늘어나는 등 올해 들어 증가추세다. 

    은행 연체율은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 자영업자 차주를 비롯해 가계대출 전반에서 상승세를 나타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올 4월말 0.46%로 지난해 4월말 0.29% 대비 0.17% 포인트 올랐다.

    같은 기간 가계대출 연체율은 0.34%로 지난해 4월말보다 0.16%포인트 상승했다. 

    은행들은 자산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부실채권을 상각‧매각하는 등 연체채권 정리에 돌입했다.

    문제는 이런 노력에도 연체율 상승세를 잡지 못한다는 점이다.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부실채권 매‧상각과 충당금 비용인 대손상각비를 보면 올해 1분기 7191억원으로 전년동기 1899억원보다 278.7%나 뛰었다. 

    같은 기간 인터넷은행도 754억원에서 1871억원으로 148.1% 급증했다. 

    오는 9월 자영업자·소상공인 대상 대출 만기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점도 대출 부실 위험 우려를 키우는 대목이다.

    은행들은 건전성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일제히 비상대응체계를 구축하고 리스크관리에 돌입했다. 

    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은 위험성 관리를 위해 리스크분류체계를 강화하고, 취약차주를 지원하는 한편 맞춤형 연체관리 등 사후관리도 강화했다”며 “그러나 선제적 충당금 불구하고 대출채권 매각으로 손실 보전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