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리스크 현실화유예조치 끝나는 9월 이후 더 걱정 채무조정 등 특별 관리 나서
-
코로나19 대유행 때 가파르게 불어났던 중기·개인사업자(소호) 대출의 부실 리스크가 본격화하고 있다.금융당국은 오는 9월 이들에 대한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가 종료되도 부실폭탄이 터질 가능성이 없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시장에서는 9월 위기설이 재점화하고 있다.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로나19 기간 억제됐던 중소기업대출과 소호대출 연체율 상승세가 본격적으로 꿈틀대고 있다.주요 은행 14곳(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기업‧산업‧카카오‧케이‧토스‧전북‧대구‧씨티‧부산)의 지난해 1분기말 대비 올해 1분기말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모두 상승했다.토스뱅크는 1년 사이 0.86% 포인트로 가장 많이 뛰었고, 대구은행 0.42% 포인트, 전북은행 0.40% 포인트, 씨티은행 0.28% 포인트, 부산은행 0.13% 포인트 뛰었다.시중은행의 연체율 상승세를 보면 같은 기간 국민은행이 0.11% 포인트, 신한은행 0.05% 포인트, 우리은행 0.12% 포인트, 하나은행 0.12% 포인트 올랐다.기업은행(0.21%포인트), 농협은행(0.21%포인트), 산업은행(0.02%포인트) 등 대형 특수은행들의 중소기업대출 연체율도 상승했다.소호대출 연체율도 심상찮다. 올해 1분기말 소호대출 연체율 상승폭은 지난해 1분기말 대비 국민은행이 0.13% 포인트, 신한은행 0.18% 포인트, 우리은행 0.14% 포인트, 하나은행 0.24% 포인트로 나타났다.지방은행은 같은 기간 대구은행 0.42% 포인트, 부산은행 0.20% 포인트, 전북은행 0.33% 포인트 연체율이 올랐다.지방은행과 특수은행의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지방은행은 지방소재 중기와 소상공인 대상으로 자금을 공급하고, 특수은행은 상대적으로 신용도가 낮은 차주들에게 자금을 주로 공급했기 때문이다.고금리에 경기침체가 겹치면서 이들 차주의 상환여력이 떨어지면서 연체율이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한국은행 통계를 봐도 올 1분기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회사 대출 연체액은 6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53.7% 뛰었다. 1분기 자영업자의 전체 금융회사 연체율 역시 1.0%로 작년 4분기와 비교해 0.35%포인트 상승했다.자영업자·소상공인 대상 대출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오는 9월 끝날 경우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 대상 대출의 부실 위험이 현실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은행권에서는 추가 충당금 적립과 지원 대상 차주들에 대한 선제적인 리스크관리에 나섰다.국민은행은 부실 가능 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채무상환 능력을 키우는 'KB 기업향상 프로그램'의 대상을 확대했고, 복합위기 비상 대응 협의체를 운영 중이다.하나은행도 리스크 관리 조직을 만들어 대출 관리 강화와 취약차주 연착륙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우리은행은 올해 초 여신관리본부 신설했으며 신한은행은 '기업 포괄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가동하고 있다.금융당국은 은행권의 저금리 분할상환 대출 등을 통해 연착륙을 유도할 방침이다.오태록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영업자·소상공인에 대해서는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에서 벗어나 채무조정 등 부채정리 중심의 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