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차 전환기, 자동차부품 경쟁력제고 방안' 주제로 포럼 개최Top 100 부품사 韓 11개사 포함, 中 13개사로 처음 추월당해자금·정책적 지원, 제도 개선, 미래차 특별법 제정 등 촉구
-
미래차 전환에 두각을 나타내는 중국기업이 많아지면서 국내 부품사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지난해 글로벌 100위권 부품사에 포함된 중국기업 수가 처음으로 한국 부품사 수를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27일 자동차회관에서 ‘미래차 전환기, 자동차부품 경쟁력제고 방안’을 주제로 제34회 자동차산업발전 포럼을 개최했다.자동차산업연합회는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이하 KAMA)를 비롯해 한국자동차연구원, 한국전기차산업협회 등 자동차 관련 11개 단체 연합으로 구성됐다.권은경 KAMA 조사연구실장은 ‘자동차 부품업계 경영애로 및 시사점’ 내용으로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부품업계 설문조사와 연구결과를 통해 단기, 중·장기 별로 어려움을 파악했다. 비용 증가로 인한 이익률 감소, 인건비 상승과 인력부족, 미래차 산업전환 부담 등이 문제로 제기됐다.특히 중국기업들이 완성차 제조사와 부품사 모두 전기차 등 친환경차에서 지배력을 높이면서 국내 기업들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는 설명이다.오토모티브뉴스가 6월 발표한 지난해 글로벌 Top 100부품사 현황에 따르면 국내 부품사는 현대모비스 등 11개가 포함됐다. 반면 중국기업은 지난해보다 4개사 늘어난 13개사가 이름을 올려 한국을 처음 추월했다. 중국기업 CATL이 5위로 처음 10위권에 진입하면서, 6위에 오른 현대모비스도 앞지른 모습이다.권 실장은 “산업 변환기에 적응 가능한 글로벌 수준의 역량을 갖춘 국내 부품사는 소수”라며 “미래차 분야에서 중국기업이 기술력과 가격에서 경쟁력을 발휘하며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부품사별 규모와 여건에 따라 미래차 전환 역량을 갖출 수 있는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의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추세여서 전망도 밝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해 KAMA가 실시한 ‘부품업계 미래차 전환 실태조사’ 결과 미래차 전환중인 국내 기업은 350개 기업 중 37.7% 수준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미래차 전환기업 비중도 줄어드는 것으로 파악됐다.부품업계에서는 미래차 전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해결책을 제시했다.단기적으로는 외국인 인력을 비롯한 숙련인력 확보를 위한 제도 개선, 자금지원과 내수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요구했다. 내수활성화 정책으로는 친환경차 취득세와 개소세 감면 연장과 더불어 최대 30% 개별소비세 인하 재도입이 거론됐다.중·장기로는 세액공제 등 투자 유인책 확대와 미래차특별법 제정을 비롯한 규제개선을 촉구했다. 국내 투자를 막고 기업 경쟁력을 저해하는 화학물질 규제, 산업 안전규제, 노동규제 등 ‘킬러규제’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이외에도 포럼에서는 ▲미래차 전환기 공급망 안정적 관리의 중요성 ▲1차 협력사 외 2·3차사 중심 대책 필요성 ▲숙련인력 채용을 위한 제도적 개선 등을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강남훈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친환경차로의 전환속도가 가속화되면서 전환역량에 따른 업체간 양극화도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외국인 근로자 제도 개선과 정책자금 확대가 시급하고, 미래차 전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미래차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