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수치 상승 후 치료 너무 늦어… 바이러스 수치 '2000 IU/mL' 즉시 치료혈액 1mL당 100만 단위 수치가 간암 발생 주요 지표로 임염석 서울아산병원 교수팀, 소화기분야 최고 권위지 ‘거트(GUT)’ 논문 게재국내 5개 대학병원 환자 9700명 분석… 제한된 건보 혜택이 사회경제적 손실 심화
-
간암은 국내 중년 암 사망률 1위로 발생원인의 70%는 만성 B형간염이다. 현재 B형간염 약제는 간암 위험을 절반으로 낮춰주지만 치료를 시작할 수 있는 건강보험 급여기준이 간수치가 크게 상승했을 때로 제한돼 국내 환자 중 약 18%만 치료받고 있다.그러나 간암 발생은 간 수치가 아니라 바이러스 수치에 달렸다는 국내 연구진의 분석이 나왔다. 간 수치가 정상이어도 간암 발생 확률이 커 조기 치료를 위한 국가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이때 연간 3000명의 간암 예방이 가능하다는 결론이다.7일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최원묵 교수팀에 따르면 국내 5개 대학병원(서울아산병원, 경희대학교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만성 B형간염 성인 환자 9709명을 대상으로 간암 발생 위험을 수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mL당 100만 단위(6 log10 IU/mL)일 경우 간암 발생 위험이 높았다.심지어 해당 환자들은 장기간의 간염 치료 중에도 간암 발생 위험도가 50% 정도 낮아질 뿐 여전히 가장 높은 위험도를 유지했다.특히 바이러스 수치가 1억 단위 이상에서 치료를 개시한 환자들에 비해 100만 단위에서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들의 간암 발생 위험은 최대 6.1배나 높았다.환자들의 혈액 내 B형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100만 단위 기준으로 더 높아지거나 낮아질수록 간암 발생 위험은 점진적으로 낮아졌다. 이러한 관계는 간염 치료 중에도 유지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문제는 B형간염 건강보험 급여기준에 따르면 혈중 바이러스 수치가 높아도 간 수치가 정상이면 치료를 시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이번 연구는 간 수치가 정상이라도 바이러스 수치를 기준으로 간염 치료를 조기에 시행한다면 간암 발생자 숫자를 최대 6분의 1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해 의의가 크다.연구결과는 소화기분야 최고 권위지인 ‘거트(GUT, 피인용지수 24.5)’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으며 향후 국내외 B형간염 치료지침 및 건강보험 급여기준 개정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그동안 학계에서는 바이러스 수치에 비례해 간암 발생 위험이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간염 치료를 시작한 후에는 바이러스 수치가 간암 발생 위험과 연관이 없다고 여겨왔다.하지만 이번 연구를 통해 간암 위험도를 낮게 유지하려면 복잡한 B형간염 치료 개시 기준을 혈중 바이러스 수치만을 기준으로 단순화하고 일찍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점을 입증했다.국내 B형간염 치료 건강보험 급여기준은 매우 복잡하다. 바이러스 수치가 최소 2000단위 이상이면서 간수치(AST 또는 ALT)가 정상 상한치의 2배(80 IU/L) 이상이어야 한다.임영석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매년 국내에서 약 1만2000명의 간암 환자가 새롭게 진단되는데 대부분 중년 남성이다보니 심각한 사회경제적 손실과 가정 위기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그는 "혈중 B형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2000 IU/mL 이상인 성인 환자는 간 수치와 상관없이 간염 치료를 바로 시작할 수 있도록 건강보험 급여기준을 개정해야 한다. 그러면 1년에 약 3000명 향후 15년간 약 4만여 명의 간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고 했다.이어 "B형간염 치료시기를 간염 바이러스 수치를 기준으로 단순화하고 앞당길 경우 간암 발생을 예방함으로써 사회적인 비용 부담은 오히려 감소한다는 점도 이미 입증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