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성장률 정부 전망과 동일… 한은보다는 높고 IMF보다는 낮아하방위험으로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고금리 여파 꼽아"신중한 통화정책 대응, 재정여력 확보, 구조적 노력 필요" 강조
-
OECD는 5일(현지시각)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보다 0.1%p 내린 2.2%로 조정했다. 이는 올해 경제정책방향에서 우리 정부가 전망한 2.2%를 반영한 결과다.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과 관련해 한국은행은 2.1%, IMF는 2.3%,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2% 등으로 전망한 바 있다.
OECD는 국내 경제성장 위험요인으로 중동에서 비롯된 지정학적 리스크와 고금리 여파 등을 꼽았다. 중동 정세불안이 확대될 경우, 공급병목이 심화되고 에너지가격이 상승하며 경제활동이 저해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분석이다. 또 전례없는 금리인상의 후행적 영향(lagged effects)이 예상보다 길거나 크게 나타나면서 경기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했다.
이에 OECD는 신중한 통화정책 대응과 재정여력 확보, 구조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 억제를 위해서는 당분간 통화정책 방향을 제약적으로 유지하고, 조세・지출개혁을 통해 재정여력을 확보해 지속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교육개혁과 글로벌 밸류체인 복원 등 구조적 노력도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은 2.9%로 내다봤다. 지난해 11월 전망치인 2.7%보다 소폭 상승했다. 다만 주요 선진국의 거시경제정책 제약과 중국경제의 구조적 부담 영향 등으로 전년(3.1%)과 비교해선 0.2%p 하락했다.
OECD에 따르면 올해 미국은 인플레이션 둔화에 따른 실질임금 상승과 금리인하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흐름을 지속할 전망이다. 유로존은 실질소득이 상승하는 하반기 전까지 긴축에 따른 수요감소 영향으로 상반기에 저조한 성장(0.6%)을 보이겠다. 중국은 소비심리 제약과 미흡한 사회안전망, 높은 부채와 자산시장 위축 등으로 지난해(5.2%)보다 둔화한 4.7%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세계경제는 연말로 가면서 회복 지속성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대체로 탄력적 회복세에 들어섰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예상보다 빠른 인플레이션 둔화 ▲에너지지원 정책의 가계소득 완충 ▲경제활동 촉진 영향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은 견조한 소비 등에 힘입어 세계경제 회복을 견인했고, 신흥국은 인프라 투자 확대와 고용 증가 등에 따른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다. 그러나 유로존은 타이트한 신용여건 등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미약했으며 중국은 연초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에도 내수에서 제약을 보였다.
세계교역은 아직 부진한 상황이다. 하지만 반도체・IT기기・자동차 판매 등에 더해 항공 여객수요 회복 등에서 개선 조짐이 보이고 있다고 OECD는 판단했다. 헤드라인(전체 물가)과 근원 물가상승률 모두 에너지와 식품가격 하락, 통화긴축 등 영향으로 하락했다. 다만, 최근 홍해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에 따른 운임상승과 운송지연 등은 상품비용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견해다.
OECD는 공급요인과 수요요인 모두 2023년 연간 인플레이션 둔화에 기여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헤드라인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를 하회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최근 시장의 조기 금리인하 기대에도 신용 성장세는 여전히 미약하고, 대다수 주요국에서 빠른 주택 거래 위축을 경험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IMF는 미국과 중국, 인도 등 주요 신흥개도국의 탄탄한 성장세에 힘입어 '2024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지난해 10월 전망치보다 0.2%p 올린 3.1%로 상향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