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서 LOL 허가 총 11곳… 국내 기업 최초현지 병·의원과 협력체계 구축 및 난치성 질환 치료 연구현지 법인에 세포치료제 개발 기술 이전·재생의료 성장 모색
  • ▲ 대웅바이오로직스 인도네시아 전경.ⓒ대웅제약 제공
    ▲ 대웅바이오로직스 인도네시아 전경.ⓒ대웅제약 제공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 재생의료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대웅제약은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대웅바이오로직스 인도네시아(DBI)가 인도네시아 보건부(MOH)로부터 ‘줄기세포 처리시설(LOL)’ 허가를 취득했다고 13일 밝혔다. 

    LOL 허가는 줄기세포를 연구하고 생산하는 시설에 대한 허가다. 대웅제약은 LOL 허가 취득을 통해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재생의료 사업의 핵심인 줄기세포를 취급할 수 있게 됐다. 

    인도네시아 식약처(BPOM)와 MOH는 시설의 위생, 안전, 품질 관리와 관련한 공정 전반의 역량 검증을 비롯해 현장 실사를 통해 최종 승인한다. 인도네시아에서 현재까지 LOL 허가를 획득한 기업은 대웅바이오로직스 인도네시아를 포함해 총 11곳이다.

    대웅제약은 대웅바이오로직스 인도네시아를 통해 현지 병·의원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병·의원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줄기세포의 생산 및 처리 공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해 필요 기관에 제공하고 ▲재생치료술 ▲세포치료제 ▲바이오 소재 에스테틱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대웅바이오로직스 인도네시아는 대웅제약이 인도네시아 재생의료 및 에스테틱 시장 진출을 위해 2021년 설립한 법인이다. 인도네시아 자바베카 산업 지역 내 치카랑에 ▲세포치료제 생산공장 ▲화장품 생산공장 ▲실험실을 보유하고 있다. 대웅제약 용인세포치료센터가 보유한 줄기세포 임상, 연구, 생산 전 단계에 걸친 고도화된 개발 기술이 집약돼 있다.

    대웅제약은 대웅바이오로직스 인도네시아에 최신 세포치료제 개발 기술을 이전하고 용인세포치료센터와 지속 협력해 현지 재생의료 산업의 동반 성장을 모색할 방침이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현지 진출한 국내기업 중 최초로 LOL 허가를 획득한 만큼 바이오 재생의료는 물론 난치성 질환 치료제 연구개발 및 사업화도 함께 추진할 것”이라며 “지난 10여년간 기술이전 및 인재육성 등 현지화 전략을 고도화해 인도네시아가 글로벌 바이오 허브로 성장하는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