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료품 물가, 전체 물가 대비 2배 이상 고공행진 중 과일 38.3%, 채소·해조 11.3% 등 상승폭 확대상반기 내내 가격 상승 불가피 … 정부, 대책 골몰
-
2월 과일물가가 40% 가까이 오르는 등 식료품 가격 고공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과일, 채소 등을 중심으로 올 상반기까지는 가격 오름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2월 식료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6.9% 상승했다. 다섯 달째 6%대 이상 고공행진 중으로 전체 물가상승률(3.1%)의 두 배를 훌쩍 뛰어넘으며 고물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식료품 물가 상승은 농산물이 견인했다. 농산물은 1년 전보다 20.9% 올랐는데 특히 과일은 38.3%, 채소 및 해조는 11.3% 급등하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리는 원인이 됐다.신선식품지수로 구분된 '신선과실'로 떼어서 보면 가격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41.2%까지 치솟는다. 1991년 9월(43.9%) 이후 32년 5개월 만에 오른 최대 상승 폭이다.구체적으로 농산물 가격 상승 현황을 보면 사과(71.0%), 귤(78.1%), 토마토(56.3%), 배(61.1%) 등 가격이 작년 동기간보다 가파르게 올라 물가를 0.80%포인트(p) 끌어올렸다.과일 외 다른 먹거리 물가도 높은 편이다. 식료품 물가를 구성하는 우유·치즈·계란(4.9%), 과자·빙과류·당류(4.5%), 커피·차·코코아(3.4%) 등도 지난달 전체 물가상승률을 웃돌았다. 쌀(9.2%), 아이스크림(10.9%) 등도 크게 오른 품목 중 하나다.문제는 이러한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채소는 생육기간이 짧아 빠른 공급이 가능한 반면, 과일은 여름에야 본격 출하 시즌이 다가오기 때문이다.이번에 큰 폭으로 오른 사과만 봐도 9월이 돼야 빨간 사과로 불리는 아리수·홍로 등이 출하한다. 배 역시 8월 말부터 출하하긴 하지만 본격적인 평년 출하 시기는 9월 중순부터다.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과일은 신선식품이기 때문에 정부에서 비축 물량으로 지정하기도 쉽지 않다는 특성이 있다"며 "소비량은 꾸준한 데 반해 공급량이 일정 시기까지 맞물리지 않으며 상반기 중에는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예정"이라고 전망했다.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도 이날 열린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산물을 중심으로 지난달보다 높아졌다"며 "농산물을 비롯한 생활물가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이어갈 수 있다"고 분석했다.
-
정부는 물가잡기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다양한 재정 지원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3~4월 농축수산물 납품단가 인하에 204억원, 할인 지원에 230억원 등 모두 434억원을 투입한다.납품단가 인하 지원 품목은 사과, 대파, 청양고추, 토마토 등 13개 품목이다. 또 만다린, 두리안, 파인애플 주스 등에 할당관세를 적용해 올 상반기 중 할당관세 물량이 신속히 국내에 유통되도록 업체별 수입 실적 인센티브도 도입한다.또 비상수급안정대책반을 가동해 품목별 동향을 일일 모니터링하는 등 가격·수급관리를 강화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정부의 다양한 대책이 물가 안정에 충분한 효과를 낼지 주목된다. 가파르게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가 안정세를 찾지 못한다면 결국 가계 부담으로 이어지고 경제 회복세도 더딜 수밖에 없어 정부로선 부담이다.최 교수는 "농산물가 상승률은 일상생활에서 체감하는 품목들이라 국민들에게 더 크게 와 닿을 것"이라며 "특히 과일은 웰빙 식품으로 잠재된 수요가 많은 데 반해 못 사 먹는다는 심리적 압박감 때문에 경제적 어려움을 넘어 박탈감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