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광건설 포괄적금지명령 공고…경영실적 악화에 자금난시평 100~200위권 법정관리 7곳…부도는 9곳 전년比 3배↑고금리·미분양탓 유동성위기…빌라시장도 바닥 "수입원無"
  • ▲ 서을의 한 공사현장. ⓒ뉴데일리DB
    ▲ 서을의 한 공사현장. ⓒ뉴데일리DB
    지역 중견·중소건설사들의 줄도산이 현실화하고 있다. 연초 영동건설(시공능력평가 176위)을 시작으로 새천년종합건설(105위), 선원건설(122위) 등에 이어 최근 전남지역 중견사인 동광건설(126위)도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24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전날 동광건설에 대한 포괄적 금지명령 공고했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회생절차를 정식으로 시작하기 전 자산을 모두 동결하는 조치다. 법원허가 없이는 가압류 및 채권회수가 금지되고 회사도 자체적으로 자산을 처분하지 못한다.

    그동안 지역 건설업계에선 동광건설이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했다. 실제로 감사보고서를 보면 동광건설은 지난해 영업손실 107억원, 당기순손실 48억원을 기록하며 실적이 내리막길을 걸었다.

    동광건설을 포함해 올해 법정관리를 신청한 100~200위권 중견건설사만 벌써 7곳이다.

    영동건설이 올해 가장 먼저 법정관리 스타트를 끊었고 이어 부강종합건설(179위)·송학건설(243위)·새천년종합건설·선원건설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달엔 강원지역 8위인 에스원건설(269위)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며 지역업계 위기감이 가중됐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키스콘)에 따르면 법정관리에 그치지 않고 부도난 건설사도 9곳에 이른다. 전년동기대비 3배 수준으로 2019년(15곳)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9곳 모두 전문건설업체로 월별 법정관리 신청건수는 △1월 3곳 △2월 2곳 △3월 4곳이었다.

    중견건설 A사 관계자는 "시평 100위권만 돼도 계열사나 연계된 협력사가 적잖아 법정관리, 부도가 현실화할 경우 파장이 크다"며 "미분양이 쌓이고 고금리 이자부담도 만만치 않아 지역 중견·중소사들은 버틸 여력이 얼마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금리인하가 예고됐던 하반기까지 어떻게든 버텨보자는 분위기였는데 지금은 기대감이 많이 떨어진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건설업계 줄도산 뇌관중 하나는 고금리로 인한 이자부담이다. 사업자금 조달과 유동성 확보를 위해 끌어들였던 대출이 이자 '부메랑'으로 돌아오면서 재정부담을 가중시킨 것이다.

    실제로 지난 2월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액 상위 500대 건설기업 자금사정을 조사한 결과 76.4%가 현재 기준금리(3.5%)에선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자비용을 갚는 데 여유가 있다는 기업은 17.7%에 불과했다.
  • ▲ 빌라 공사현장. ⓒ뉴데일리DB
    ▲ 빌라 공사현장. ⓒ뉴데일리DB
    기대됐던 금리인하도 기약없이 미뤄지고 있다. 특히 미국에선 금리인하는커녕 동결, 인상까지 예상하는 전망이 나오면서 불안정성이 가중되는 양상이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3개월연속 시장전망치를 웃돌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매파 인사들은 잇따라 금리인상 가능성을 거론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의 연내 기준금리 인하도 장담할 수 없게 됐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은 지난 12일 "하반기 금리인하 가능성을 예단하기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매달 늘어나는 미분양도 건설사들을 옥죄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통계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미분양주택은 총 6만4874가구로 전월(6만3755가구)대비 1.8%(1119가구) 증가했다. 지난해 12월부터 3개월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지방 미분양이 5만2918가구로 전체 81.5%를 차지했다.

    빌라시장 침체가 장기화하고 있는 것도 지역 중견·중소사 자금줄을 마르게 하고 있다.

    국토부 통계를 보면 지난 2월 비아파트 인허가는 2439가구로 전년동기대비 44.9%, 착공은 2233가구로 36.0% 줄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지방아파트 미분양은 이미 곯을대로 곯은 문제이고 특히 빌라시장이 가라앉은 게 치명적"이라며 "사실상 현 시점에선 간간히 나오는 공공발주를 제외하면 지역건설사들이 돈을 벌어들일수 있는 창구가 없다고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PF사업장 매입이든 기업구조조정리츠(CR리츠) 등 정부정책도 대상이 한정적이라 한계가 분명하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