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철 한전 사장 16일 기자간담회 개최"전력산업 상태계 동반부실 우려"한전 누적적자 43조·이자비용 4조5000억
  • ▲ 한국전력 김동철 사장ⓒ한국전력
    ▲ 한국전력 김동철 사장ⓒ한국전력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최소한의 전기요금 정상화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사장은 16일 기자들과 만나 "한전은 그동안 전기요금 조정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력을 다해 왔지만 한전의 노력만으로는 대규모 누적 적자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한계에 봉착했다"면서 "최후의 수단으로 최소한의 전기요금 정상화는 반드시 필요함을 정부 당국에 간곡히 호소드린다"고 강조했다.

    한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 가격 급등 시기 원가 밑으로 전기를 공급해 2021∼2023년 연결 기준 43조원의 적자가 쌓였다. 부채비율은 2020년 133%에서 2023년 543%까지 불어났다. 지난해 연결 기준 총부채는 203조원으로 지난해 이자 비용으로만 4조5000억원을 썼다.

    한전의 재무상황이 단시간에 급속도로 악화한 것은 정부의 강력한 에너지 요금 인상 억제책 탓이 크다다고 김 사장은 평가했다.

    김 사장은 "2021년부터 구입전력비가 대폭 증가했으나, 전기요금이 구입전력비와 송전·배전·판매비용 등의 영업비용과 이자비용도 반영하지 못했다"면서 "2022년은 판매단가가 구입전력단가에도 미치지 못하는 심각한 역마진이 발생했다"고 봤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저 수준의 요금을 유지했다. 한국의 전기요금은 kWh(킬로와트시)당 149.8원으로 호주(311.8원), 일본(318.3원), 이탈리아 335.4원), 영국(504.3원) 등에 비해 최대 3분의 1 저렴하다.

    김 사장은 지난 2년간의 요금조정과 2023년 4분기부터 연료가 안정화 등으로 재무상황 개선 중이나 자구노력만으로는 누적된 대규모 적자 해소 한계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 2년 간 자산매각과 사업조정 등으로 7조9000억원의 재정건전화 실적을 달성하고 정부와 한전의 노력으로 구입전력비 7조1000억원을 절감했다"며 "구입전력비를 2조2000억원 절감했고, 임금반납과 희망퇴직 등도 이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올해 1분기 1조3000억원의 영업이익으로 3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지만 최근 중동 리스크에 따른 고유가와 1300원 후반대의 고환율로 재무 불확실성이 다시 커지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한전과 전력 산업을 지탱하고 있는 협력업체와 에너지 혁신 기업들의 생태계 동반 부실이 우려된다"며 "결국 국가 산업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고 봤다.

    전기요금 주무부처인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7일 기자 간담회에서 "전기·가스 요금 정상화는 반드시 해야 하고 시급하다"면서도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산업에 대한 부담이 커 인상의 적절한 시점을 찾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아울러 김 사장은 국가 전력망의 적기 확충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그는 "한전은 2042년까지 조성될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비롯해 폭발적 증가가 예상되는 전력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겠다"며 "한전은 세계 최고 품질의 전기를 값싸게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해 왔고 앞으로도 이를 철저히 이행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