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우주기술과 등 이전 … KARI·KASI와 시너지 기대우주항공청에 인력 300명 투입 … 우주산업에 심혈
  • ▲ 지난달 24일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발사돼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뉴시스
    ▲ 지난달 24일 고흥 나로우주센터 발사대에서 한국형 우주 발사체 누리호(KSLV-Ⅱ)가 발사돼 우주로 날아오르고 있다. ⓒ뉴시스
    대한민국 우주개발과 우주산업 부흥이란 꿈을 갖고 추진된 우주항공청 개청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우주항공청에는 약 300명의 인력과 연간 7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오는 27일 경남 사천에서 개청하는 우주항공청에는 연간 예산 7000억원이 책정됐다. 과기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진행해 온 연구·개발(R&D)과 사업 등 5000여억원에 사업 진흥비까지 합친 규모다.

    기존 과기부 산하에 있던 우주기술과, 거대공공연구정책과 우주 관련 팀은 우주청에 이관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 한국천문연구원(KASI) 역시 우주청의 직속기관이 된다. 우주산업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정부기관과 연구기관이 한곳에 모여 시너지를 이끈다는 취지다.

    과기부 관계자는 "기존 과기부 산하에서 우주 관련 업무를 보던 부서와 함께 인력도 우주청으로 넘어가는 것"이라며 "27일 개청과 동시에 공식적으로 이동하게 된다"고 했다.

    우주청 인력은 연구 분야와 산업 분야, 정부 행정 분야를 포함해 300명 정도로 책정됐다.

    R&D와 관련 산업 육성 등의 업무를 총괄하는 임무본부장은 1급이지만 핵심 역할을 총괄하며 대통령 수준인 2억5000만원의 연봉을 받는다. 이 자리에는 존리 전 미국 항공우주국(NASA) 본부장이 내정됐다.

    존 리 내정자는 지난해 9월 한국천문연구원에 미국·유럽연합과 함께 한국의 산업체에서 만든 우주탐사선을 태양과 지구 사이 제4라그랑주 위치(L4)에 보내자는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L4는 태양계 내에서 중력적으로 안정된 다섯 개의 지점 중 한 곳으로, 이 지점을 활용하면 우주선이나 우주 스테이션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장기적인 우주 탐사 임무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 내정자는 장기적으로 국내 우주산업 성장에 대한 자신감을 내보였다. 윤 내정자는 지난 2일 "우리나라도 발사체 기술, 위성 기술, 자체 발사장이라는 3가지 기본 요소는 갖추고 있다"면서 "우리나라가 정부 주도로 얻은 우주 기술은 상당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런 기술 하나하나를 민간으로 이전하고, 정부와 민간이 함께 긍정적인 발전을 하도록 이끌어나갈 계획"이라며 "민간 주도 우주개발의 궁극적 목표를 두고 전세계에서 경쟁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글로벌 우주기업을 만들어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