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강국 기술 격차 있어… 예산확보·과감한 투자 필요"정원 293명임에도 110여명 규모의 필수인력 먼저 구성
  • ▲ 우주항공청 청사로 첫 출근한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연합뉴스
    ▲ 우주항공청 청사로 첫 출근한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연합뉴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이 27일 경남 사천에 있는 우주항공청 개청 후 처음 출근하며 "본격적인 우주경제 강국으로 이끄는 중요한 디딤돌을 놓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윤 청장은 이날 첫 출근길 기자들에게 "국민이 염원한 우주항공청이 드디어 개청했다. 설렘과 동시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 청장은 이날 청사에서 열린 개청 기념 직원 조회에서 앞으로 우주항공청의 역할을 크게 △국가 우주항공 정책수립 △연구개발(R&D) 수행과 인력양성 △산업 진흥과 국제협력 등을 꼽았다.

    윤 청장은 "마치 의자의 네 다리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야 바로 설수 있듯이 우리 우주항공청의 역할도 각 부서의 균형과 조화가 잘 이루어질 때 비로소 제 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세계 7대 우주기술 강국에 진입했다고는 하지만 1~6위권 국가와는 격차가 있는 것이 엄연한 사실"이라며 "스포츠 경기에 비유하자면 이제 막 기초체력을 갖추고 본격적으로 경기에 나갈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상태"라고 말했다.

    그는 또 "명확한 중장기 우주개발 목표와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할 충분한 예산확보와 전략분야에 대한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며 "민간 주도의 우주항공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민간 간의 신뢰 형성과 긴밀한 파트너십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윤 청장은 "제 역할은 마치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와 같이 여러분들이 내는 역량의 소리를 통해 우리의 멋진 협주곡이 연주될 수 있도록 이끌어 가는 것"이라며 "(직원들이) 우주항공청이라는 새 조직의 역사에 길이 남을 개청공신이 되어 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존 리 우주항공임무본부장, 노경원 차장 등 주요 우주항공청 인사들의 임기도 공식 시작됐다. 우주항공청 정원은 293명이지만 현재는 필수인력인 110여명 규모로 이뤄졌다.

    한국판 '나사(NASA, 미국 항공우주국)'를 표방하며 이날 개청한 우주항공청(KASA)은 앞으로 우리나라 우주항공 분야 전반을 총괄하면서 '뉴스페이스'라 불리는 미래 우주항공산업을 선도할 기업을 육성하고 인재를 길러내는 역할을 맡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