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적 제도로 전환·신속 법제화 추진 요청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계가 의료대란 상황 속 정부의 비대면진료 전면 허용은 수치로 긍정적 효과가 증명됐으나 약 배송 등 제한이 걸려 있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27일 원격의료산업협의회(원산협)은 최근 정부가 비대면진료의 전면 허용 후 약 10주간 동네 병·의원급 이용 건이 약 38만5000건 증가했다고 발표했고 자체 조사 결과에서도 감기몸살, 비염과 같은 경증질환을 주축으로 소아청소년 진료가 대폭 늘어난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는 국민의 의료접근성 등 긍정적 효과가 입증된 지표라고 강조했다. (의료대란 등) 특수한 상황에서 전면 허용된 수요 급증 현상은 정책 환경 변화가 국민과 업계 모두에 근본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고 평가했다.

    다만 의약품 배송까지 포함하는 비대면진료 전면 허용 방침이 도입됐다면 압도적으로 높은 수치의 증가세가 나타났을 것이라는 점에서 아쉬움도 드러냈다. 

    원산협은 "의사의 치료와 처방은 비대면으로 이뤄지나 최종 절차인 의약품의 경우는 반드시 대면으로 수령하도록 하는 점이 많은 의료 소비자의 비대면진료 포기 이유"라며 "보다 개방적인 비대면진료 정책 환경이 조성된다면 활성화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정책 환경의 예측가능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면 양적·질적 성장은 점점 힘들어질 것이며 글로벌 비대면진료 서비스 경쟁 구도에서도 국내 기업이 뒤처질 우려가 있다"며 "정부와 국회의 신속한 비대면진료 법제화 논의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