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중심 보수‧인사관리 체계 고도화' 용역 착수"직무등급‧평가 재구조화, 보수와 연계 강화"
  • ▲ 신용보증기금 사옥 전경. ⓒ신용보증기금 제공.
    ▲ 신용보증기금 사옥 전경. ⓒ신용보증기금 제공.
    신용보증기금이 직무급제 고도화 작업에 본격 나섰다. 공공부문 개혁의 일환으로 직무급제 도입 및 고도화를 추진하는 정부의 방침에 맞춘 행보다. 

    신보는 지난 2018년부터 직무급제를 도입하고 있으나 이번 고도화 작업을 통해 운영 수준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보는 ‘직무중심 보수 및 인사관리 체계 고도화’를 위한 용역에 착수했다. 

    신보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직무급제 고도화를 계획해 지난달 용역발주를 하게됐다”면서 “과거와 비교해 부서와 직무가 다양해져 현재 상황에 맞게 새로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직무분석을 보수와 연계해 직무제 도입수준을 높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용역은 직무등급 결정‧평가 체계를 재구조화해 직무 중심 보수체계 개편을 위한 실행 로드맵을 수립한다.

    우선 사업전략과 연계한 심층 분석을 통해 직무분류를 세분화하고, 직무 가치가 적정하게 반영될 수 있도록 기관 특성을 반영한 합리적 평가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직무등급과 평가결과의 합리적인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직무순위 도출과 함께 평가군 간 점수비교를 위한 표준화 작업도 진행한다. 

    현재 대부분의 금융 공공기관들은 호봉제 골격을 유지하면서 급여의 일부를(30% 내외) 직무급제로 결정하는 식의 혼합형 임금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신보는 이번 고도화 작업을 통해 전체 연봉에서 직무급이 차지하는 비중을 늘릴 계획이다. 이에 따라 보수체계 개편을 위한 취업규칙 변경 및 노사합의 절차 등에 대한 노무관련 법적 현안 검토 및 자문도 진행한다.

    직무급제는 급여 수준을 업무 성격과 난이도, 성과 등에 따라 달리 적용해 연공서열에 따른 호봉제의 부작용을 탈피할 수 있는 임금제도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공공부문의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직무급제 도입과 질적 개선 노력을 경영평가에 반영하고 우수기관에는 총인건비 인상 등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4일 ‘2023년도 직무중심 보수체계 개편실적 점검결과’를 발표하고 우수기관 5곳에 총인건비 인센티브 0.1%포인트를 부여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개별 기관에 대한 점검결과 점수는 비공개로 하고 있다”면서 “향후 공공기관 경영평가 보수 부문에 이번 점검결과가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