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인텔리전스' 공개… 오픈AI와 협력챗GPT 품은 시리, AI아이폰 하반기 출시AI폰 치고 나간 삼성과 한판 승부
  • ▲ ⓒ애플
    ▲ ⓒ애플
    애플이 첫 AI(인공지능)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를 공개하고 하반기엔 이를 탑재한 첫 AI폰을 선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AI폰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일찌감치 AI폰을 내놓고 호평받은 삼성과의 승부가 관전 포인트다.

    애플은 10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본사에서 '세계개발자회의(WWDC) 2024'를 열고 첫 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선보였다. 음성비서 시리(Siri)도 오픈AI의 챗GPT와 합쳐져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제어할 수 있게 진화했다.

    이 같은 애플 인텔리전스 기능과 새로운 시리는 올 하반기 출시되는 애플의 다양한 기기에 탑재될 예정이다. 아이폰 운영체제(OS)인 'iOS 18'과 아이패드OS 18, 맥 OS, 세쿼이어(Sequoia)가 적용된 신제품들이 대거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번 애플이 경쟁사 대비 한참 뒤늦게 AI 시스템을 내놓으면서도 이렇다 할 '혁신'은 없었다는게 업계 안팎의 평이다. 애플 인텔리전스가 보여준 AI 메모 교정, 요약 기능이나 통화녹음 요약본 정리, 사진과 동영상의 AI 편집, 검색 등의 기능은 이미 타사에서 보여준 AI의 주요 기능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린다.

    오히려 주목받은 건 오픈AI와의 협력이다. 애플은 원래 자체 개발 능력으로만 신제품과 신기술을 선보이는 원칙을 고수해왔는데, 이번에 시리를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에서 오픈AI의 챗GPT를 처음 적용하면서 애플만의 혁신을 더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픈AI의 챗GPT와 접목되면서 시리 사용자는 다수의 앱을 오갈 필요 없이 챗GPT를 사용할 수 있고 물음에 대한 답변에도 챗GPT가 활용된다. 글을 작성할 때도 챗GPT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시리와 함께 구동되는 챗GPT는 오픈AI가 지난달 발표한 최신 '챗GPT-4o(포오)'다.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이자 AI의 아버지로 불리는 샘 올트먼이 이번 애플의 WWDC의 사실상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샘 올트먼은 이번 행사에서 무대에 올라 새로운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애플 경영진들과 함께 무대 아래서 발표를 지켜보는 모습이 포착돼 이목을 끌었다.

    그동안 AI폰 시장 진출에 대해 말을 아끼고 좀처럼 전략을 공개하지 않던 애플이 뒤늦게나마 AI 시스템을 선보이면서 하반기 출시될 애플의 첫 AI폰인 '아이폰16'시리즈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갤럭시S24'를 시작으로 샤오미와 비보 등 중국업체들이 잇따라 AI폰을 출시해 시장을 선점한 상황에서 아이폰이 얼마만큼 빠르게 추격에 나설지 주목된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분기 AI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점유율 58%로 1위를 점한 가운데 샤오미와 비보가 그 뒤를 쫓는 구도가 형성됐다.

    하반기 애플의 참전으로 AI폰이 스마트폰 시장의 대세로 떠오르며 수요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오는 2027년 AI스마트폰 출하량이 약 5억 5000만 대를 넘겨 전체 스마트폰 시장의 43%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2025년부터는 생성형 AI가 중가 이상 스마트폰에서 필수 기능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