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BOK 지역경제 심포지엄 환영사"과도한 지역간 불균형 완화, 미룰 수 없는 과제"
  • ▲ ⓒ한국은행 제공.
    ▲ ⓒ한국은행 제공.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9일 “국가 경제의 안정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라도 과도한 지역간 불균형을 완화하는 것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창용 총재는 이날 시그니엘 부산에서 열린 ‘BOK 지역경제 심포지엄’ 환영사를 통해 “그간 묵혀 온 저출생‧ 고령화, 지역간 격차 등 구조적 문제가 경제‧사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우리 국민들의 삶의 터전인 지역사회에서 먼저 현실화되고 있다”고 진단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최근 산업구조와 기술변화에 따른 부문 간 격차 확대가 수도권과 그 외 지역의 불균형으로 크게 발현돼 지역경제의 성장 기반이 약화되고 있다"며 "인구가 집중되는 수도권도 경쟁 심화 등 과밀화의 외부효과가 저출생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과거 인구가 증가하는 국면에서는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저개발 지역의 성장기반 확충과 삶의 질 향상에 분명 기여했으나 인구 감소라는 피할 수 없는 경로에 들어선 지금은 투자의 효과를 면밀하게 따져보는 것이 과거보다 더 중요해졌다”고 진단했다.

    소수 거점도시를 집중적으로 육성해 지역균형 발전을 추진하는 전략을 제시한 것이다.

    이 총재는 지역별 거점도시 활성화 필요성을 한 그루의 나무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에게 한 그루의 나무만 남아 있어 모두가 그 나무만 오르려는 상황에서는 점차 높은 곳으로 올라야만 과일을 딸 수 있고 높게 매달린 과일을 따기 위한 경쟁이 모두를 힘겹게 할 것"이라며 "그렇다고 너무 많은 나무를 키우려 하면 자원과 노력이 분산되면서 결국 대부분의 열매가 부실해지는 우를 범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좋은 열매를 맺을 만한 몇 그루의 든든한 나무를 함께 키워가는 것이 앞으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덧붙였다.

    지역경제 심포지엄은 한은이 지역경제 이슈와 정책대안을 함께 고민하는 토론의 장을 마련하고자 지난해 서울에서 처음으로 시작했다. 올해부터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해양·항만의 도시인 부산을 시작으로 각 지역의 중심 도시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