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점검 회의지하차도 진입 차단시설 16곳→431곳 늘려
  •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제20차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행안부 제공
    ▲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21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및 기후위기 재난대응 혁신방안 제20차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행안부 제공
    지난해 오송 지하차도 참사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국 침수 위험지역 1600여곳에 대한 '도시 침수지도'가 연내 제작된다.

    행정안전부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위기 재난 대응 혁신방안 및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 회의를 열고 하반기 중점 조치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지하차도 진입 차단시설 마련 대상을 기존 16곳에서 431곳으로 늘리고, 지하차도가 15cm 이상 침수되거나 하천 범람이 우려되는 경우 등의 상황에선 관리주체가 즉시 통제하도록 했다.

    또 침수 상황 시에는 긴급재난문자를 자동발송하는 한편, 안전난간·사다리 등 피난·대피시설 설치 기준을 마련해 올해 안에 관련 지침을 추가 개정하기로 했다.

    산사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합 개설했고, 하반기에는 침수 위험지역 1654개 읍면동에 대한 '도시 침수지도'를 제작한다. 

    이상민 장관은 "국민의 생명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지자체, 관계기관과 협력해 재난 안전 분야의 핵심과제를 빈틈없이 추진하겠다"며 "특히 여름철 3대 인명피해인 산사태, 하천 재해, 지하공간 등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