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생성 이미지. ⓒStableDiffusionXL
    ▲ AI 생성 이미지. ⓒStableDiffusionXL
    스마트폰 중독이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그대로 대물림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모가 스마트폰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경우, 자녀 또한 스마트폰 사용이 과도해져 일상생활에 장애를 겪거나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약 80%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 최근호에 실린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의 전이 관계' 논문(김소연 외)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 조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초등학교 6학년생 2229명과 이들의 부모(어머니 2051명, 아버지 178명)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를 저의존형, 평균형, 고의존형으로 분류했다. 스마트폰 의존도는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업무능률 저하, 집중력 저하, 불안감 등을 측정하는 15개의 질문을 통해 평가됐다.

    분석 결과, 부모의 33.9%는 저의존형, 49.5%는 평균형, 16.6%는 고의존형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경우, 36.4%는 저의존형, 40.3%는 평균형, 23.3%는 고의존형으로 분류되었다. 부모가 고의존형일 때, 자녀의 78.6%가 고의존형이었고, 부모가 평균형이나 저의존형인 경우 자녀가 고의존형인 비율은 각각 11.8%와 9.7%에 그쳤다. 이는 부모가 저의존형인 경우 자녀의 7.6%만이 고의존형인 것과 크게 대비된다.

    부모가 저의존형이면 자녀의 54.4%도 저의존형이었고, 37.9%는 평균형에 속했다. 부모가 평균형에 속해있다면 자녀도 평균형일 경우가 51.5%로 가장 많았고 이어 32.9%가 저의존형, 15.6%는 고의존형이었다.

    연구진은 "부모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자녀에게 고스란히 전이될 확률이 높다"며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부모도 스마트폰 사용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자녀가 스마트폰을 처음 접할 때 가정에서의 교육이 중요하다"며 "체계적인 부모 교육과 가족 실천 중심의 온라인 교육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 부모의 경제적 수준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부모의 양육 태도가 긍정적이고,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시간이 많으며, 부모-자녀 간 대화가 활발한 경우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비판적이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은 자녀가 정서적 지지를 느끼지 못하게 하여 스마트폰 사용으로 이를 해소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연구진은 "가족이 함께하는 시간과 활동을 늘리는 것이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