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 초·중·고 '스쿨 블록'-'커뮤니티 블록' 구분수영장·도서실·어린이 돌봄센터 등 개방 추진
-
저출생으로 학령인구가 감소하면서 변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은 초·중·고교 내 다양한 공간을 인근 지역주민이 함께 쓸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시교육청은 학교와 지역의 시설 공유를 통해 교육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자 '지역사회 공유학교 모델(Two-Block School)'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그동안 대부분 학교장은 교내 시설의 외부인 출입을 굳게 막아왔다. 인명사고가 나거나 시설이 파손됐을 때 책임이 모두 학교장에게 돌아가기 때문이다.그러나 문화·체육 공간이 주민 수에 비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는 서울시가 주민 수요와 학교장 요구를 모두 맞출 모델을 발표한 것이다.구체적으로는 학교와 지역사회 시설을 운영 주체·장소에 따라 △학교 안 블록 △커뮤니티 블록 △학교 밖 블록 등 3개로 나눠 활용 방식과 범위를 정한다.먼저 '학교 안 블록'은 학교 내 공간으로, 온전히 학생 교육을 위한 공간으로만 사용한다. 학교장이 관리하는 교실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커뮤니티 블록'은 학교 안에 있지만 지자체가 관리하고 학교와 지역사회가 함께 쓰는 공간이다. 교내 체육관, 주차장, 수영장, 도서실, 문화·체육시설, 어린이 돌봄센터 등이 해당한다. 학교 운동장과 식당 등도 '학교 안 블록'이 아닌 '커뮤니티 블록'으로 확대한다는 게 교육청의 설명이다.'학교 밖 블록'의 경우 지자체가 쓰던 공영주차장 등 지역시설, 어린이집, 어린이 돌봄센터 등이다.시교육청은 학교와 지역 여건에 따라 이와 같은 각각의 '블록'을 조합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기존 학교의 경우 기존 학교장 관리 아래 있던 '스쿨 블록'을 줄이고 학교내·외 '커뮤니티 블록'를 늘려 자치단체의 관리 운영 비중을 높일 수 있다.반대로 학교가 지역사회 시설을 추가로 활용할 수 있다. 지난 2008년 개교한 서초구의 매헌초등학교는 자치구 소유의 양재근린공원 운동장을 쓰고 있다.신설 학교에는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한다. 중랑구에 건립할 공립 특수학교인 동진학교에도 자치구와 협의를 거쳐 시설을 공유하는 모델을 적용할 계획이다.만약 신설 학교가 용지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 지자체 소유 시설만을 교육활동에 활용하는 형태의 학교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이 시교육청의 구상이다.다만, 일각에서는 학생들이 지역 주민과 시설을 함께 사용함으로 인해 안전 문제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이에 대해 정효영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국장은 "기존에는 (학생과 주민의) 동선이 분리되지 않은 경우가 많았는데 별도 출입구 등을 통해 동선을 분리하는 게 먼저"라며 "출입 통제 시스템도 필요한데, 이러한 부분은 설계에서부터 철저하게 고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교육청은 공유학교 모델 사업을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가 긴밀하게 협력하고, 각 학교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해 적합한 운영 모델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또한 학교와 지역사회가 자원을 공유하는 만큼 자치단체와의 협약을 통해 책임과 권한의 명확한 분담을 추진하고, 이를 조율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지역사회 공유학교 모델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과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갈 것"이라며 "단순한 계획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성공적인 사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