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준비의 핵심은 '안정적인 소득원의 확보'당국, 해외사례 참고 사망보험금 자산유동화로 연금식 활용 구상보험업계 연금전환 가능한 종신보험 등 "노령 맞춤 보험설계 필요"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초고령사회를 맞아 노후 준비를 위해 보험상품을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보험업계는 노후 맞춤형 상품으로 국민연금의 빈틈을 메우고 금융당국은 종신보험을 유동화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12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초고령사회, 보험산업의 역할'을 주제로 열린 제17회 국제보험산업심포지엄에서 발표자들은 코앞으로 다가온 초고령사회에서 노후 준비의 핵심은 '안정적인 소득원의 확보'라고 입을 모았다.

    UN에 따르면 지난 7월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000만명을 돌파했고 내년이면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겨 초고령사회에 도달한다. 2045년이면 고령 인구 비중이 일본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 KB골든라이프보고서에 따르면 전반적인 노후 준비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가구는 44.6%에 달했다. 부문별 준비 정보를 보면 경제력 면에서 준비가 부족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53.5%로 나타났다. 10명 중 5명이 경제적 노후 대비를 제대로 하지 못 했다고 응답한 것이다. 잘 준비됐다고 생각한 응답자는 16.6%에 그쳤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고령화 사회, 보험산업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맡은 안창국 금융위원회 금융산업국장은 "사망보험금 자산 유동화를 통해 종신보험금을 생전 소득으로 활용하는 해외 사례를 참고해 이러한 제도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망보험금 자산유동화는 사후 소득인 생명보험 사망보험금을 연금처럼 생전 소득으로 지급받을 수 있는 안이다. 미국과 홍콩은 보험계약증권을 유동화한 상품이나 생명보험 담보대출을 판매해 금융 소비자가 노후 연금처럼 활용한다. 영국 일부 보험사도 보험상품과 더불어 주택유동화 상품을 판매한다.

    안 국장은 "한국 금융 소비자는 종신보험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 연금으로 전환이 가능하다면 활용이 용이할 것"이라며 "보험계약의 가격 평가 문제에 보완이 필요하지만 최근 도입된 IFRS17로 부채 시가평가가 가능해져 유동화와 시장 유통에 필요한 여건이 어느 정도 형성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부동산 가격을 안정화해야 하는 과제가 있긴 하지만 한국의 가계자산 70~80%가 부동산인 것을 감안하면 부동산 자산을 유동화해 주택연금 등 노후자금이나 돌봄서비스 재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영국의 사례처럼 보험사가 보험은 '임베디드 서비스'로 제공하는 플랫폼이 되고 그 위에 요양, 돌봄 서비스 등을 다양하게 제공하는 '보험사의 플랫폼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당국이 이처럼 보험사를 시니어 토털 서비스 제공 플랫폼으로 거듭나게 하는 밑그림을 그리는 한편 보험사는 현장에서 고객별 상황에 맞춘 상품 설계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보험설계사로 활동하고 있는 이승봉 한국MDRT협회장은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 생활에 분명히 한계가 있다"며 "은퇴 설계는 '소득 분배 설계'라는 점을 고려한 노령 맞춤 보험 설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노령 맞춤형 보험 상품으로 △연금보험 △치매간병보험 △종신보험을 꼽았다. 특히 종신보험은 상속세의 재원으로 활용 가능하며 연금전환 옵션이 있다는 점에서 노후대비 보험으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은퇴한 남성 직장인 고객이 부부의 종신보험을 모두 해지하고 싶다고 할 경우 부인이 전업주부라면 성별 평균 수명 차이와 이혼 가능성 등까지 총체적으로 고려해 부인의 종신보험은 완납 후 그 환급금으로 연금보험에 새로 가입하거나 치매, 장기요양 대비를 위한 보험에 드는 것을 추천할 것"이라며 "재정 상황에 맞는 현금흐름을 안정적으로 만들어 놓는 것이 보험을 통한 적절한 노후 준비"라고 예를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