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통상관계 안정화에 역량 집중에너지·조선 등 협력 범주 확대 기대 "'반도체 철의 동맹' 구축 주도할 것"
  • ▲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1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산업·통상·에너지 분야 주요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 박성택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이 1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산업·통상·에너지 분야 주요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산업통상자원부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와 소통을 강화해 위기 요인은 최소화하고 기회요인은 극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성택 산업부 1차관은 1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산업·통상·에너지 분야 주요 성과 및 향후 계획' 브리핑에서 "향후 미국 신행정부와 한미 통상관계를 안정화시키는데 산업부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박 차관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이나 반도체과학법(칩스법) 관련 보조금 등 미국 신행정부가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정책들이 우리 기업의 수출이나 투자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며 "기업들과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기회 요인은 최대한 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 신행정부에서 IRA나 칩스법 등과 관련한 정책이 구체화되면 우리 기업들과 상의하고 향후 투자 계획 추진에 있어 큰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정부가 앞장서서 협의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차관은 최근 윤석열 대통령과 트럼프 당선인의 첫 통화에서 '한미 조선업 협력'이 언급된 것을 거론하며 "바이든 행정부에서 반도체, 자동차, 배터리 분야에서 집중적으로 협력이 진행돼 왔다면 앞으로는 에너지, 조선산업 등의 분야로 협력의 범주를 넓혀 나갈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향후 통상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과 관련해 박 차관은 "그간 다각적으로 오랫동안 준비를 해 왔으며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채널로 미국 측과 긴밀하게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25%를 넘겼던 대중국 수출집중도가 19% 수준으로 완화된 것과 관련해 박 차관은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중국 내수 부진, 중국에 부품을 보내 제3국으로 수출하는 기존 패턴의 근본적 변화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중국향 수출이 낮아지고 있다"며 "중국 수출은 중국 경제의 회복 속도와 향후 미중 관계 전개 등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반도체 통상대응도 정부가 역점을 둔 대표적인 분야로 꼽았다. 박 차관은 "네덜란드와 반도체 동맹을 결성하고 일본 수출규제를 완전히 해소한 것도 공급망 안정성 측면에 중요한 전환점이 됐다"면서 "내년에는 '반도체 생산국 당사자 회의' 의장국으로서 한·미·일·대만·유럽연합(EU)를 잇는 '반도체 철의 동맹' 구축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